지식서비스 산업 이대로가 좋은가
지식서비스 산업 이대로가 좋은가
  • 김상준
  • 승인 2009.04.20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정부에 들어서면서 IT(정보기술)산업과 함께 각종 관련 지식서비스산업을 더욱 힘차게 육성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콜센터 서비스나 아웃소싱 서비스분야도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창조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인식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도 이 분야에 종사하는 한 일원으로서 환영하는 바이다.

콜센터나 아웃소싱을 수행하는 회사의 근로자들은 원래의 소속과 작업장이 다른 비정규직 형태로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보다 전문적인 교육훈련과 꾸준한 자기계발을 하는데 시간과 경비지출이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런 어려움을 돕고자 정부는 비정규직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에게 이러닝과 같은 사이버상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국가차원에서 확대하고 있다.

직장인들이나 취업희망자들이 집이나 직장,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국가가 인정할 수 있는 훌륭한 전문 강사진의 경험과 이론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은 인터넷 강국, IT강국에 살고 있는 우리 국민들만의 특권이 아닐까 한다.
그런데 본인이 이런 긍정적인 측면을 소개하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서 느껴지는 답답한 심정이 있다. 이런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지식콘텐츠에 대한 경제적 가치와 활용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산업인력공단이나 각종 공공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교육콘텐츠 개발에 참여하는 지식콘텐츠 제공자들은 국가와 업계, 그리고 서비스 산업을 위해서 애국심 발로에 가까울 정도로 자신의 오랜 체험과 귀중한 학습물, 그리고 새로운 창작물을 쏟아 내는데, 국가에서 지급하는 지식콘텐츠 제공물에 대한 지불가격이나 보상가격에 대해서는 양과 질을 따지지 않고 거의 획일적이다. 다시 말해서 피교육생이 어느 정도 교육을 받느냐에 대한 교육시간과 한 강좌당 책정된 수강료를 정하는 기준에 따라 국가에서 지원하는 지식콘텐츠 교육내용물로 보고 매우 저렴한 단가를 책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례로 30~40분짜리 사이버 동영상 강좌가 총 16강이나 20강 정도 책정되면 이에 대한 콘텐츠 제공에 대한 보상단가는 총 4~5백만원에 불과하다. 이것을 교육물로 개발하는 이러닝 개발비용은 최소한 강좌당 3천만원이 넘게 지출된다. 하지만 지식콘텐츠 제공자의 지적재산권 제공 비용은 개발비용과 비교하면 겨우 6분의 1에서 10분의 1에 불과하다. 보통 이런 강좌를 개발하게 되면 대략 3개월 정도 투입하게 되는데, 원천 지식콘텐츠 제공자는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제공하면서 단순한 콘텐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 잘 개발되고 개발후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평가문제 등을 제공하고 강좌가 개발완료 될 때까지 함께 참여하여 피드백을 하게 된다.

그야말로 투입되는 시간이 한 강좌명당 최소한 600시간 이상이 투입된다. 물론 이러닝 개발자들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동시에 투입하게 되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처럼 우리가 지식서비스 강국으로 가고자 하는 데는 아직도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있다. 이제 이러닝 비즈니스가 채 몇 년 지나지 않아서 이런 것까지 고려하지 못한 것 때문인지, 이유야 어떻든 결론은 그냥 묻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미국이나 일본은 자신들이 쌓은 지식이나 노하우를 외국에 컨설팅 모델, 비즈니스 모델로 체계화하고 전문화하여 새로운 국부를 창출하고 있다. 선진국의 영향력을 지적재산권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런 정책적 지원이 그저 정부부처에서 총량적 실적을 쌓는 가시적인 것이거나 마치 연례행사 같이 인스턴트식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어 계속 값어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심히 우려된다.

명실상부한 지식서비스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지식을 창출하는 사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가치와 동기부여를 새로운 차원에서 바라보고 고민해 볼 때가 아닌가 한다.
그리고 이 분야의 선배들이 겪은 어려움이나 가난함을 답습하지 않는 후배들이 될 수 있도록 업계의 주장도 한번 기대해 본다. 정책집행자들의 변화도 필요한 것 같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