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만남’과 ‘질문’으로 새 지평을 열어보자
2010년, ‘만남’과 ‘질문’으로 새 지평을 열어보자
  • 이효상
  • 승인 2010.01.08 10: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0년, ‘만남’과 ‘질문’으로 새 지평을 열어보자>

2010년을 맞으며 많은 분들이 자문을 청해온다. 상담의 주내용은 작년 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냐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답변을 고민하면서 2009년 한해동안 가장 많이 자문해준 내용이 무엇인지를 되새겨 봤다.

그것은 ‘만남’과 ‘질문’ 이었던 것 같다.

만남의 중요성에 대해 중언부언하는 것 보다는 11년간 프랑스 미테랑 대통령 보좌관을 지낸 자크 아탈리의 말을 옮기는 것이 나을 듯하여 잠깐 소개한다.
자크 아탈리는 “가난함이란 지금까지는 '갖지' 못한 것을 의미했으나, 가까운 장래에는 '소속되지' 못한 것이 될 것이다. 미래에는 첫째가는 자산이 네트워크에의 소속이 될 것이다.
이것은 '주도적으로 성취해가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우선적 조건이 될 것이다.” 라고 말한바 있다. -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에서 재인용

이러한 만남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Social Network'라는 용어일 것이다. 이미 우리의 일상에서 학연, 지연, 혈연이 아닌 불특정 다수들과 어울림과 만남이 이루어 지는 Social Network 활동은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도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Web2.0에 기반한 Social Network 활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 것으로 보인다.

사회의 문화에 커다란 변화가 오는 것이다. 2010년이 그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에 대응할 준비와 참여할 준비가 된 기업이나 개인이 2010년 이후의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 이게 2009년 열심히 ’만남‘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한 내용이었다.

또 하나의 답변인 ‘질문’에 대한 의견은 그동안 살아 오면서 간과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한 재발견에서 연유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답변’을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교육을 받고 평가받으면서 살아왔다. 그런데 세상을 바꾸고 역사를 이끌어 온 사람들은 ‘답변’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질문’을 잘하는 사람들이었다.

지금껏 미쳐 깨닫지 못하고 간과하고 있었던 점이 바로 이점이었다. 현명한 질문 하나가 세상을 바꾸어 온 것이다.

코페르니쿠스는 태양이 지구를 돈다는 패러다임에 반기를 들었고, 미국 헌법을 창시한 건국의 아버지들은 군주 통치가 나라를 다스리는 유일한 방식이라는 통념을 거부했다.
헨리 포드는 자동차의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에 반발했고, 빌 게이츠는 큰 조직에서만 사용하던 컴퓨터를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함으로써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에드워드 제너는 “왜 사람들은 천연두에 걸리지?” 라는 평범하기 짝이 없는 질문을 “왜 소젖을 짜는 여자들은 천연두에 안 걸리지?”라고 바꿈으로써 천연두 백신을 찾아냈다.

이들 모두 당연하게 여겼던 지식에 질문을 던져 세상을 바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기존의 틀안에서 새로운 ‘답변’을 찾고자 노력한다. 이미 수십년간 누군가 찾았던 답변이고, 스스로도 수년씩 찾았지만 속시원한 해법을 찾지 못했거나,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에 대해 또 다른 답변을 찾고 있는 것이다.

이미 상식이 된 답변을 바꾸고자 하는 것은 무의미한 몸부림일 것이다. 그래서, 상식적일 수 밖에 없는 답변을 찾지 말고 ‘질문’을 바꾸어 보라고 말하곤 한다.

질문이 바뀌면 해법이 바뀐다.

그러므로, 2010년엔 질문을 바꾸어 보길 주문해 본다. 그러면 분명 지금까지 와는 다른 해법이 보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