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혁신·경쟁력 확보 주력
제조업 혁신·경쟁력 확보 주력
  • 김연균
  • 승인 2014.09.18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의 ‘제조업 혁신’ 경쟁이 한창이다. 제조업 기반의 강화 없는 경제기조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복원력도 더디다는 판단이 그 배경이다.

독일은 ‘인더스트리3.0’, 미국은 ‘첨단 제조파트너십 구축’ 등의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국내 제조업기지인 산업단지들은 길게는 50년 이상 지나면서 노후화돼 IT(정보기술) 융합과 생산성,에너지효율이 낮은 게 현실이다. 더구나 청년층이 산단내 제조업체 취업을 기피하면서 인력마저 노령화하고 있다. ▷스마트ㆍ친환경기반 구축 ▷입주기업 연구개발ㆍ혁신역량 강화 ▷노후단지 리모델링 신속 추진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환경 조성을 내용으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스마트 혁신산단 조성’ 계획은 이런 배경에서 출발했다.

첫번째 과제는 스마트 산단을 통한 생산성과 에너지효율 제고. 스마트공장 1만개 육성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공동 활용이 가능한 클라우스시스템 구축, 공동 폐자원 재활용 및 폐수처리 등이 추진된다.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은 산업용 인터넷기술을 통해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으로 생산공정을 실시간 원격 제어, 제품 리콜비율을 20% 이상 줄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CJ의 경우 제조공장 내 클라우드시스템 도입으로 HWㆍSW 구축비 20%를 절감한 사례가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24개 산단에 클라우드 기반 IT서비스를 도입, 기업들이 전산업무 수행을 위해 개별적으로 HWㆍSW를 설치하는 대신 공통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방식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내년 2개 산단에서 시범 실시된다.

또 IT기반 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FEMS)를 적용, 전기 열 가스 소비량을 센서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을 통해 실시간 파악하고 원격 제어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개선할 방침이다. 이는 FEMS 적용 이후 에너지 사용량이 10% 절감된 현대삼호중공업 사례가 바탕이 됐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에너지이용합리화자금 등을 통해 10개 산단에 FEMS 도입을 지원하고, 폐열 부산물 등 자원을 재활용하는 생태산업단지도 올해 46개에서 2019년 150개로 확대한다.

이밖에 연구ㆍ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대학 캠퍼스와 기업 연구관을 유치해 산학융합지구를 현행 7개에서 2017년까지 17개로 늘린다. 여기에는 국비 등 3200억원이 투입된다. 여기에 산단별로 혁신지원센터를 10개 건립, 경영컨설팅과 시장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창의적인 젊은이들이 모여들고, IT융합과 지능화로 생산성 높은 ‘스마트 혁신 산업단지’로 전환이 요구된다”며 “관련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제조업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1033개의 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산단을 지정해 국가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3년 기준 8만개 기업이 입주해 201만명의 근로자가 근무 중이다. 국내 제조업에서 고용의 50.6%, 생산액의 68.6%, 수출의 80.7% 차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