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으로 5년간 일자리 5만개 창출
'기업 연계형 대학' 육성으로 5년간 일자리 5만개 창출
  • 이준영
  • 승인 2016.04.12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정부가 기업 연계형 대학을 집중 육성해 향후 5년간 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창출하기로 했다. 산학협력을 통해 청년 취·창업을 확대하고 대학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줘 기업의 채용 여력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12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산학협력 활성화 기본계획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기본계획은 대학 산학협력을 활성화해 향후 5년간 5만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대학이 보유한 기술지주회사와 자회사를 확대해 37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학부생에 초점을 맞췄던 창업도 대학원으로 확대한다. 교수와 대학원생이 협업해 석·박사 연구원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실험실 창업을 통해 1만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대학이 지역 중견기업과 강소기업 등에 기술개발과 기술이전 등의 도움을 줘 기업 경쟁력을 높이면 기업의 채용 여력이 좋아지고 이를 통해서도 3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교육부는 기대했다.

이를 위해 기존 학부와 제조업 중심의 산학협력을 대학원과 문화·예술 콘텐츠,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고 대학을 '기업 연계형'으로 집중 육성한다.

먼저 '사회맞춤형 학과'에 다니는 학생 수를 2015년 현재 5000여명에서 2020년까지 2만50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매년 5000명씩 늘리겠다는 것이다.

사회맞춤형 학과는 대학과 기업이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는 대신 졸업생 채용을 보장하거나 우대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와 주문식 교육을 말한다. 주로 4년제 대학에서 운영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현재 1800여명에서 5000여명으로 재학생 수를 늘리고, 전문대에서 주로 이뤄지는 주문식 교육과정은 채용 약정 인원을 3100여명에서 1만6000여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학부만이 아니다. 대학원에서도 기업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회맞춤형 교육과정을 확대해 인공지능(AI), ICT 융합,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분야 석·박사급 고급 인재를 양성한다. 대학원에서도 현장실습과 캡스톤디자인 교과 등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내실화하기로 했다.

산학협력의 저변을 공학, 제조업 중심에서 문화·예술 콘텐츠와 서비스 분야로 확산하기 위해 대학에 문화·예술 분야 대학지주회사 제도를 도입한다. 지금은 기술을 출자하는 형태의 지주회사 설립만 가능하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나서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한다. 창업 실패 위험을 분산하고 실패 경험과 노하우가 대학 내에서 공유·축적될 수 있도록 1인 창업보다는 대학생, 졸업생, 교원이 조합원으로 참여하는 협동조합 형태의 창업 모델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지원하고 대학은 기술을 개발하는, 대학-지자제 간 합작 형태의 '연합형 지주회사' 모델로 2020년까지 10개 이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기존의 산학협력이 학부와 제조업 중심이었다면 기본계획은 대학원과 문화·예술 콘텐츠, 서비스 분야로 산학협력 저변을 확대하고 글로벌 산학합력을 통해 해외 취·창업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이를 통해 5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