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감] 비정규직 정규직화 대책 목표 달성 실패
[2016 국감] 비정규직 정규직화 대책 목표 달성 실패
  • 김민수
  • 승인 2016.10.14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정부는 2014년 12월 19일 「비정규직대책 정부안」을 발표하면서 2016년부터 공공기관 기간제 근로자를 정원의 5%미만(정원대비 기간제 근로자 비율로 산정)으로 축소하고, 무기계약직 보수체계 개선을 통해 차별을 해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 정부의 국정과제는 달성이 불가능해 보인다고 송옥주의원이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은 고용노동부와 고용노동부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비정규직(기간제) 고용비율, 무기계약직 처우 등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공동으로 진행된 조사로, 현재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전 상임위원회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공동 국정감사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송 의원에 따르면, 고용노동부 및 소속·산하기관 중 정원 대비 기간제 비율이 목표치인 5%에 미달하는 기관은 고용노동부(29.2%), 고용보험심사위원회(20.0%), 노사발전재단(17.1%), 건설근로자공제회(12.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11.4%), 근로복지공단(8.7%), 한국잡월드(7.7%), 한국장애인고용공단(6.5%) 등 8개 기관으로, 이중 기간제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고용노동부 본부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2016년 현재 기간제 근로자의 비율이, 정원 2,327명 대비 680명으로 29.2%에 달한다.

또한 근로복지공단의 경우, 해당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8.7%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오히려 소속 기간제 근로자 483명의 약 2배에 달하는 919명을 파견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비정규직 비율 산정기준의 맹점을 이용해 기간제가 아닌 파견직으로 비정규직을 채용하여 경영평가 상 불이익을 피하려는 꼼수를 부린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고 있다.

또한 정부는 그동안 무기계약직 처우개선을 통해 차별을 없애겠다고 공언해 왔지만, 이 역시 정부 발표와는 달리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정규직 대비 무기계약직의 임금비율을 볼 때, 고용노동부 소속 무기계약직의 급여는 정규직 대비 44.8%(전문위원), 63.3%(사무원)에 불과하고, 노사정위원회의 경우 무기계약직 급여가 정규직의 52.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정작 무기계약직 정책을 주관하는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부터 무기계약직 처우개선 계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기계약직에 대한 임금차별은 명절수당과 복지포인트 등 잘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서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용노동부의 정규직 대비 무기계약직 명절수당 비율은 18%에 불과했고, 복지포인트에 있어서도 노사정위원회와 노사발전재단을 제외하고는 정규직과의 차별이 존재했다.

송옥주 의원은, “무기계약직은 공공부문 일자리를 정상화 시키자는 취지하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도입한 직제인데, 임금차이가 이렇게 많이 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명절수당이나 복지포인트 같은 차별이 근로자들에게는 더 모멸감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특히, 공공부문 비정규직 지침의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가 소속 기관 중 가장 낮은 성과달성률을 보이고 있는데, 고용노동부가 지침을 지키라고 하는 말을 다른 기관이나 부처들이 진정성 있게 들을 수 있겠느냐”면서, 고용노동부에 이에 대한 시정조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