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사업 고용유지 100일 안팎
일자리 사업 고용유지 100일 안팎
  • 김연균
  • 승인 2017.06.07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논문 발표
[아웃소싱타임스 김연균 기자]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고용유지 기간은 대부분 100일 안팎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노동경제학회에 따르면 한국고용정보원 전주용 부연구위원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재식 연구위원은 최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5차 자료와 일모아-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등 약 136만개 자료를 사용해 2012년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가자들의 취업 여부, 성별, 연령, 학력, 이전직장 월평균 임금, 근속 기간, 이직횟수 등의 요소로 조사를 진행했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은 ▲직접일자리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등으로 나뉜다.

조사 결과 사업참여 이후 고용유지 기간이 가장 길었던 형태는 고용장려금(272일)이었다. 이어 직접일자리(179일), 직능훈련(173일), 고용서비스(162일), 창업지원(136일) 순이었다.

사업참여 이후 재취업 소요기간이 가장 길었던 형태는 직접일자리로 269일이 걸렸다. 고용서비스(90일)가 가장 짧았고, 다른 형태는 다시 취업하는데 216∼254일이 필요했다.

사업참여 1인당 총지급액은 창업지원이 611만2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직접일자리가 206만4천원으로 뒤를 이었다.

논문은 형태별 참가자들의 취업잠재력을 평가했다.

취업잠재력이란 ▲ 개인특성 ▲ 가구여건 ▲ 취업전략 ▲ 노동시장 등 4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개인의 취업·고용유지 역량 등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취업잠재력은 56.3(최댓값 100)으로 추정됐다. 일반인(75.5)보다 19포인트 만큼 낮았다.

형태별로 보면 직접일자리 참가자의 취업잠재력(47.3)이 가장 낮았고, 고용장려금(60.9), 고용서비스(63.2), 직능훈련(66.9) 순으로 취업잠재력이 높았다.

논문은 가장 취업잠재력이 낮은 직접일자리 사업을 보다 세분화해 분석했다.

공공업무지원형(생활체육 지도, 환경 지킴이), 경기대응형(숲 가꾸기, 산불방지대책), 사회서비스형(장애인활동지원, 노인 돌봄서비스), 인턴형(사회적기업육성, 중소기업 청년인턴), 사회복지·봉사형(노인 일자리운영, 장애인 일자리지원) 등으로 나뉜다.

고용유지 기간이 가장 짧은 사업은 경기대응형으로 129일에 불과했다. 나머지 사업의 유지 기간은 229∼253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재취업 소요기간은 공공업무지원형이 172일로 가장 짧았다. 사회봉사·복지형은 282일로 가장 오랜 시간이 소요됐다.

참여 기간 중 1인당 총임금은 공공업무지원형(1천90만원)이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봉사형(131만1천원)에서 가장 적었다.

취업잠재력은 인턴형(67.2)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공공업무지원형(56.8), 경기대응형(48.4), 사회서비스형(41.5), 사회봉사·복지형(24.5) 순이었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참여자들이 반복적으로 참가하는 반면 일반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디딤돌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2007년 참여자의 약 54%는 2회 이상 일자리사업에 참여했지만, 일반 노동시장에 취업한 비율은 7.6%에 불과했다.

2012년 기준으로도 반복참여 비율은 48%였고, 일반 일자리를 찾은 비율은 7.9%에 그쳤다.

논문은 “경기대응형 사업은 참여일수가 비교적 짧고 노동강도로 봤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급여를 받아 일자리사업 참여와 실업을 오가는 반복참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직접일자리사업 고용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참여자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