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운전,청소,경비업무 자동화로 2030년 80만개 일자리 축소
판매,운전,청소,경비업무 자동화로 2030년 80만개 일자리 축소
  • 이윤희 기자
  • 승인 2018.03.09 0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공장으로 단순 반복직무 위주 제조업 취업자도 감소
2016~2030년, 4차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 발표
전문과학기술·정보·통신·보건복지 등은 일자리 증가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사진편집:아웃소싱타임스 편집국)
오는 2030년 판매·운전·청소·경비 등 단순노무직은 일자리 대체 고위험 직업군에 해당되며 해당 직무에서 80만개의 일자리 축소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발표됐다.(사진편집:아웃소싱타임스 편집국)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나날이 발전하는 기술과 4차 산업혁명의 여파로 오는 2030년 판매·운전·청소·경비 등 단순노무직은 자동화를 통한 일자리 대체 고위험 직업군에 해당되며 해당 직무에서 80만개의 일자리 축소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발표됐다.

반면 과학전문가 및 관련직, 정보통신 전문가, 보건복지 관련직, 문화예술 스포츠 전문가, 공학전문가 등 기술직 일자리 대체는 낮을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는 8일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진행한 '4차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을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올해 첫 실시된 것으로 지난해 3월 이후 국책·민간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20여 기관에서 40여명의 전문가 참여를 통한 관련 통계 확충과 모형 개발하였으며 155개 직업군에서 100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도 함께 진행했다.

고용부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경우 경제 및 산업구조 혁신을 통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단, 기술 혁신에 따른 고용변화 가속화는 불가피하며 2030년 기준 92만개의 일자리가 증가하고 8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등 총 172만개의 고용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2030년 고용증가예상직무와 고용감소예상직무 표(자료제공:고용부)
2030년 고용증가예상직무와 고용감소예상직무 표(자료제공:고용부)

고용부는 고용감소 산업으로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 공공행정 등을 뽑았으며 직업별로는 매장 판매직, 운전·운송관련직, 청소경비 단순노무직 등에서 총 34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특히 자동화 및 무인화로 매장판매직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운수산업은 발달하지만 자율주행 및 자동화 시스템의 여파로 관련 직업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불어 스마트공장 및 생산 공정 자동화로 단순 반복 직무 위주 제조업의 취업자도 감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 FGI와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반영한 직업 대체율 산정에서도 ▲매장 판매직(31.8%) ▲운전·운송관련직(30.4%) ▲청소경비 단순노무직(28.6%) ▲가사,음식 판매관련(28.0%) ▲농림어업,기타서비스(25.5%) 등의 일자리 대체가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은 4차산업혁명 선도사업으로 산업과 취업자가 모두 증가되어 총 46명의 취업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 발달이 가져온 경제성장에서 비롯된 소득증가, 의료기술 발달, 여가시간 증가 등으로 인해 보건복지·사회 직무에서 7만3천여개의 일자리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업계 재직자와 전문가들이 선정한 일자리대체 저위험 직업군은 ▲과학전문가/관련직(3.0%) ▲정보통신전문가/기술직(3.2%) ▲보건/사회복지/종교(5.0%) ▲문화예술스포츠(7.3%) ▲공학전문가/기술직(9.3%)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전망 조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 모습을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최근의 성장 추이가 지속되는 '기준전망'과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을 통한 성장 유도를 했을 경우를 산정한 '혁신전망' 2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진행했다.

고용부는 조사를 통해 최소 2.5%~2.9%의 경제 성장이 있을 것이며 4차산업혁명과 산업이 융합과 복합을 통해 제조업 및 서비스업 모두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고용노동부는 "4차 산업혁명은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지만 산업과 고용, 직업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 준비가 필요하다"며 4차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기술 전문인력 양성과 사회안전망 확대, 4차산업혁명에서 비롯되는 각종 문제점들 함께 논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합의 기구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