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분석가·치매전문가 미래 신직업으로 뜬다
유전체분석가·치매전문가 미래 신직업으로 뜬다
  • 손영남 기자
  • 승인 2018.12.27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재부 '신서비스 분야 중심 신직업 활성화 방안' 발표
미래 유망직업 활성화 걸림돌 되는 법, 제도 정비키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2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기획재정부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치매전문가, 유전체분석가 및 치유농업사 등 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는 직업군 육성을 위해 정부가 법, 제도 정비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기획재정부는 12월 26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3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 2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신서비스 분야 중심의 신직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새롭게 등장하거나 미래 잠재력이 큰 직업이 민간시장에서 제대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촉매제 역할을 할 정책을 2013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제시해 온 바 있다. 

정부는 헬스케어와 환경·여가, 정보 수집·관리 분야의 법·제도를 우선적으로 정비하고 이를 통해 신직업 활성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이중 헬스케어 분야의 경우,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국내 사정상 무엇보다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이라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가 유전체 분석가와 의료기기 과학 전문가, 치매전문인력, 치유농업사 등을 신직업으로 육성하고 직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정비에 나서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간·동식물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분석해 질병예방, 맞춤형 의약품 및 의료서비스를 개발하는 유전체 분석가와 의료기기 시판 전·후에 필요한 인허가, 시험 검사, 신의료 기술평가 등을 수행하는 의료기기 과학 전문가는 물론이고 식물 재배나 동물 돌보기 등을 통해 정서적 치유, 재활을 돕는 치유농업사는 미래 신직업으로서의 가치가 다분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직업군은 역시 치매전문인력이다. 인구 고령화로 치매환자가 증가하고 환자 가족 부담이 가중돼 전담간호사 등 치매 전문가 확보가 시급하다는 게 복지부 설명이다. 이미 미국과 일본, 영국은 치매 전문가를 양성·배치해 케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복지부는 치매전문교육체계 확충, 치매전담형 요양시설 등 종사자 교육 이수 활성화를 추진한다. 치매전문인력의 경우 내년 시설종사자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에 착수하고 교육 이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2020년 이후에는 치매전문교육 진행 상황 점검에 나선다.

복지부 관계자는 "치매 전문가는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요양보호사 등에 치매전문교육을 2022년 5000명까지 확충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기획재정부
신직업 활성화 추진 방안. 자료제공 기획재정부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사회적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환경·여가 분야 신직업 육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했다. 

정부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화함에 따라 지하역사, 어린이집 등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하는 실내공기질 관리사 육성을 위해 내년 상반기 국가전문자격제도와 실내공기 우수시설 인증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의 진료활동을 돕는 동물간호복지사도 수의사법 개정을 통해 자격시험과 인증사항 등 제도를 마련한다. 

아울러 정부는 공인탐정, 개인정보보호 전문 관리자 등 정보수집·관리 분야 신직업도 활성화 하기 위해 관련 제도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