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용형 손 로봇, 이제 사용자 의도 먼저 파악하고 움직인다
착용형 손 로봇, 이제 사용자 의도 먼저 파악하고 움직인다
  • 이윤희 기자
  • 승인 2019.01.31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인간중심 소프트 로봇 기술 연구센터 -카이스트 공동 연구
딥러닝 기반 의도 예측 기술 개발..상용화에는 시간 필요
착용형 웨어러블 손 로봇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
착용형 웨어러블 손 로봇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사람의 의도를 미리 파악해서 물체를 집거나 움직이는 행위를 하는 장갑형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됐다.

서울대 공대는 인간중심 소프트 로봇기술 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는 기계항공공학부 조규진 교수와 KAIST 조성호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개념의 웨어러블 장갑 로봇을 개발했다고 1월 31일 밝혔다.

기존의 웨어러블 로봇은 생체신호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측정한 후 작동된느 구조였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방식을 벗어나 사용자의 의도를 미리 파악하는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된 것.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포커스 논문으로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갑형 웨어러블형 로봇은 척수 손상 등으로 인해 팔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장애인들을 보조하기위한 로봇이다.

연구팀은 행동 패턴을 분석해 의도를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 '비디오넷'을 통해 사람과 로봇이 마치 하나의 인격을 가진 객체처럼 동기화 되는 기술을 선보였다. 해당 기술은 안경에 부착된 카메라를 활용해, 사용자의 시각 정보와 공간 정보, 팔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간 정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한다.

기존의 웨어러블 장갑 로봇과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부수적인 방법의 내용 전달이나 버튼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는 것. 다만 시각정보나 공간정보 내용이 부족할 때 사용자의 의도가 완전히 전달되지 못해 상용화는 아직 이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대 조규진 교수는 "아직까지 소프트웨어러블 로봇에 카메라를 사용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기술을 적용한 사례는 없었다"며 "이 기술을 사용하면 외상성 척추손상으로 인해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도 아무런 도움 없이 커피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착용형 웨어러블 로봇의 원리
착용형 웨어러블 로봇의 원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