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 박사의 물류이야기] 4차산업혁명과 모빌리티(Mobility) 경계 붕괴
[이상근 박사의 물류이야기] 4차산업혁명과 모빌리티(Mobility) 경계 붕괴
  • 편집국
  • 승인 2019.02.25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0년대 명절 선물배달엔 택시, 오토바이, 콜밴, 직원승용차 등 모든 모빌리티를 배달에 활용
●지방 당일 배송서비스에도 고속버스, 시외버스, 열차 등 여객운송 수단을 활용
●공유경제 기본원리인 유휴자산의 활용측면에서 사람과 화물의 모빌리티 경계는 붕괴
이상근 
산업경영공학박사 
삼영물류(주) 대표이사

우리나라에서도 모든 모빌리티(Mobility)가 상품 배달에 활용됐던 시절이 있었다. 
홈쇼핑, 인터넷 쇼핑과 택배가 일반화되기 전인 1990년대 초반까지는 명절 선물은 대부분 백화점의 직영 배달망을 통해서만 배달이 가능했다.

당시는 백화점 명절선물을 받는 개수와 구매처가 그 사람의 사회적 영향력을 간음하는 척도가 됐으니, 공무원, 정치인, 고객사 임직원, 직장 상사에게 보내는 선물은 민원인, 납품 및 하청기업, 직원 등 이해관계자에게는 꼭 필요한 인사치레였다.

지금은 기업의 윤리경영 정착과 공직자의 김영란법 영향으로 명절 선물이 크게 줄었고, 백화점에서 인터넷, 모바일, 홈쇼핑 등으로 선물 구매가 분산되었으며, 평상시 쉽게 선물 구매가 가능해 명절의 선물 집중도가 떨어졌지만, 당시는 거의 대부분의 선물상품의 배달이 구정, 추석, 신정 등 명절 특수기에 백화점에 집중되었던 시절이었다.

'80년대말부터 '90년대까지 L백화점과 S백화점의 상품배송을 담당했던 우리 회사를 비롯한 물류회사와 백화점들도 명절 선물 행사 기간 한달 전부터 명절 당일까지 배달전쟁은 계속됐다.

롯데, 신세계, 미도파, 현대 등 대부분의 백화점은 행사기간의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었고, 중저가의 생활용품보다 고가의 선물세트가 주종이었으니 가장 중요한 대목이었다.

제조기업 입장에서도 같은 기간 명절용 상품의 생산 후 보관시설과 선물세트의 포장, 보관, 거점 이동, 도매상 및 소매상 배달 등이 큰 과제였다.

평상시 일 처리물량의 20배를 상회하는 배달 물량이 집중되는 백화점의 명절선물 배송전쟁은 단 기간에 제조, 도매ㆍ소매업체의 상품 이동과 판매 등 물류 수요가 급증과 맞물려 가정배달 인프라 확보가 자장 큰 문제였다.

백화점의 물류부서는 턱없이 부족한 배달차량, 기사, 배송보조원의 확보와 물류센터의 시설과 장비 확충, 매장의 분류와 작업인력 확보 등 모든 면에서 힘에 버거운 전쟁이었다.

특별히 선물배달차량 확보는 가능한 모든 모빌리티를 가정배달에 투입했다.
명절에 가까이는 ①평상시 3배의 운임으로라도 개별용달차량을 최대 확보해야 했고, ②자가용 화물차량의 확보, ③개인택시 3부제의 휴무일인 개인택시의 확보, ④직원의 승용차를 통한 배달, ⑤퀵서비스 제휴, ⑥콜밴(Call Van)의 확보, ⑦중형 화물차량을 2인1조로 배송에 투입하는 등 가능한 모든 대책을 마련했다.

4차산업혁명 도래와 더불어 전세계적인 유통업계의 배달 전쟁이 재현되면서 가정배달(택배)에 여객수송 모빌리티의 투입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먼저 “자가용화물차량의 활용”은 쿠팡이 작년 8월 '쿠팡 플렉스(flex)'를 도입으로 재현되었다.
쿠팡플렉스는 지원자(flexer)가 자신의 스케줄에 따라 원하는 날짜를 근무일로 선택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쿠팡의 ‘긱경제(Gig Economy)’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쿠팡 플렉스는 지원자의 선택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된다. 지원자의 승용차를 배송차량으로 활용하거나 운전을 원치 않는다면 아파트 단지에서 해당 단지에 쿠팡 트럭이 배달해 주는 상품을 수령 후 롤테이너를 활용해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하는 식이다.

둘째, '택시의 택배배달에 투입'은 작년 10월말 일본 택배업체 사가와큐빙(佐川急便)이 교토 지역의 택시회사인 야마시로야사카교통(山城ヤサカ交通)과 제휴를 통해 택시를 이용한 택배사업을 도입으로 재현되었다.

택배사업의 생산성 향상과 지역의 교통인프라 활성화를 노린 이번 시도는 지역 주민들은 물론 업계 관계자들에게도 매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택시 택배 서비스는 야마시로야사카교통 소속의 택시가 영업 마감 시간 이후 회차시에 배달할 물품을 인도받아, 이튿날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한산한 낮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물품을 배달하는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배달 업무 외에도 지역내 고객들의 발송 물품을 사가와 영업소에 맡기는 일도 수행한다. 교토후 카사기쵸(京都府笠置町)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 후, 추후 사업 확대 향방을 결정할 예정이다.

택시라는 모빌리티를 여객·화물의 경계를 넘어 통합한 이 서비스는 일본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만성적인 일손부족과 여객수요 급감으로 어려워진 일본운수업계에게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셋째, “직원의 승용차를 통한 배달”은 '17년 7월부터 시작한 월마트의 직원 퇴근배송서비스로 재현되었다.

이 서비스는 아마존이 드론 배송 등 첨단 기술을 이용하는 데 맞서 월마트의 장점인 인력과 매장 인프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월마트는 미국 전역에 4만7000여 개 매장을 운영하며 100만 명이 넘는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미국 전체 인구의 90%가 월마트 매장에서 10마일(16㎞) 내에 거주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월마트가 온라인 주문 상품을 당일 오후 퇴근하는 직원이 직접 배송하는 서비스로 아칸소주와 뉴저지주에 있는 매장 세 곳에서 시범 서비스를 한 뒤 미국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넷째, '2인1조로 배송'은 쿠팡맨을 도와 2인 1조로 움직였던 쿠팡의 '워크맨 시스템'으로 재현됐다.
쿠팡은 늘어나는 배송물량과 쿠팡맨들의 가중된 배송부담을 줄이고 2인1조 시스템을 통해 업무 효율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워크맨은 쿠팡맨과 동승하지만 운전은 하지 않고 배송만 담당하는 단기 아르바이트 성격을 띤다. 쿠팡은 2017년 8월 도입했던 워크맨 시스템을 작년 11~12월경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여객 수송 모빌리티인 고속버스, 시외버스, 철도, 항공 등을 상품 배달에 활용됐던 사례가 여럿 있다.

먼저, 1980년대 후반 주요도시의 ‘당일 배송서비스’가 있었다.

당시 4대 특송(택배)회사인 삼영특송, 한국특송, 제트라인, 동서배송은 모두 전국 ‘당일배송서비스’ 상품을 갖고 있었다.

주요도시간 당일배송 서비스를 가능케 한 운송인프라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기차 등 여객수송 수단이었다.

초기단계 고속버스, 시외버스, 기차의 물류운송 활용은 개인이 터미널, 역에 직접 방문하여 발송과 수령, 운송의 절차를 수행했지만, 특송회사, 퀵서비스 회사는 이 서비스를 대행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사업화했다.

특히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매일 30분에서 길게는 2시간 간격으로 하루 수십 회 운행하고 화물칸을 갖춘 버스는 지방간 긴급배송에는 무척이나 좋은 인프라였다.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웬만한 박스까지는 쉽게 지방으로 발송하고 도착지에서는 퀵서비스나 용달차량을 이용하여 문전 배달까지 가능하고 터미널에 일정 공간의 보관시설이 있어 물류 인프라로서 매우 좋은 역할을 담당했다.

초기 단계 직원들의 용돈벌이 수준이었던 고속버스 화물운송은 고속버스회사에서 직접 사업화하면서 버스회사 수입의 상당부분을 충당하게 되었다.

둘째 사례는 전세버스를 통한 직접 운송서비스가 있었다.

1990년말까지는 지방 중소도시의 시장 상인들은 전세버스로 상경해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평화시장, 광장시장, 청량리 시장 등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이를 전세버스에 직접 싣고 지방도시로 운송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 이었다.

현재는 온라인이나, 앱 등을 통해 상품을 확인하고 매입(사입) 대행사(인)을 통해 상품을 픽업하고, 전담 트럭을 이용해 운송된 상품을 지방에서 쉽게 받을 수 있는 대행업체 이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세번째, 여객 수송 모빌리티(Mobility)가 상품 배달에 활용됐던 사례는 국제특송의 온보드 쿠리어 서비스 (OBC: Onboard Courier Service)가 있다.

국제간의 운송에서 가장 빠른 운송은 승객이 직접 상품을 휴대하고 통관하는 동반수화물 통관 방법이다. 이를 활용한 특송 화물 운송 방법이 온보드 쿠리어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특송업체가 직원들을 직접 투입하거나, 짐이 거의 없는 손님을 모집해 긴급을 요하는 상업서류 와 소화물을 목적지 공항까지 배달하는 시스템이다.

탑승객은 항공사로부터 항공료를 최고 75%까지 할인 받을 수 있고, 화물을 부치는 사람은 일반 항공화물보다 훨씬 빠르고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도 적고 운임도 싸다는 장점을 활용해 여객수송용 항공기를 긴급 화물의 운송에 활용하는 서비스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한 최근에는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시티, 공유경제가 중요한 화두로 회자되고 있다. 
과거 백화점 명절선물 가정배달에 영업용화물자동차 외에 택시, 승용차, 자가용 화물차, 오토바이 등 가능한 모든 여객수송용 모빌리티를 배달 수단으로 활용했다. 

고속버스, 시외버스, 열차 같은 여객수송용 모빌리티도 도시간 긴급화물운송에 활용되었고, 전세버스는 여객운송과 화물운송을 통합한 모빌리티로 이용되었다.

공유경제의 기본원리인 유휴자산의 활용측면에서 보면 모든 모빌리티는 사람과 화물운송이라는 경계는 가까운 미래에 붕괴될 것이다. 

 택시, 승용차, 지하철, 자전거, 오토바이, 버스, 선박, 항공기, 제트팩(Jet Pack) 등 여객수송용 모빌리티와 화물차, 화물열차, 콜벤, 드론 등 화물 수송용 모빌리티의 경계는 급속하게 무너지고 기능은 통합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자율주행차는 화물차, 선박, 항공기내에서 맞춤형 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 모빌리티가 생산, 유통, 물류의 통합 기능을 수행할 날도 멀지 않았다.

이상근 
-산업경영공학박사 
-삼영물류(주) 대표이사(현)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정책분과위원(현)
-국토교통부 규제심사위원  (현)
-인천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위원(물류분과위원장) (현)
-대한상공회의소 물류위원회 부위원장(겸 실무위원장) (현)
-국립 인천대학교 전문교수(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