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 고용효과 10년간 33만명 달한다
5G 상용화 고용효과 10년간 33만명 달한다
  • 손영남 기자
  • 승인 2019.04.25 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 브리프' 통해 주장
당초 정부목표 60만명에는 못 미치는 수치
자료제공 한국노동연구원
5G 상용화에 따른 고용효과가 최대 33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보고가 나왔다. 자료제공 한국노동연구원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5G 상용화에 따른 고용효과가 향후 10년간 최대 33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은 4월 24일, ‘고용영향 평가 브리프’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세계 최초로 구현된 5G 상용화로 10년간 이동통신산업에서 4만 3000명~7만 8000명, 관련 산업 파급효과까지 더하면 적게는 21만 8000명에서 최대 33만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5G 상용화의 1차 효과는 통신산업의 설비투자 확산과 생산증대 및 고용변화로 이어진다. 2차 효과는 5G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산업에서 5G 이동통신기술 사용자가 늘어나고, 관련 산업의 투자가 확대되는 데 따른 관련 산업의 생산 증대와 고용변화다. 

2차효과에 따른 고용은 유통업 12만명, 제조업 8만 2000명, 미디어 3만 7000명, 헬스케어 3만 1000명 순으로 예상됐다. 제조업 중에는 자동차산업이 1만 5000명으로 가장 많은 고용이 창출될 전망이다.

노동연구원은 5G 상용화는 5G 이동통신기술이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면서 고용의 순증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 효과를 제고하는 정책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우선 수요 측면에서 5G 관련 산업 생태계의 원활한 성장과 공급 측면에서 관련 인력의 진출이 선순환 구조로 이뤄져야 하는 만큼, 5G 환경에 따른 서비스 제공폭을 확대해 중소·벤처·스타트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기술융합을 통한 고용확대를 위해 5G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융합과 5G 상용화의 활용 및 응용 능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G 상용화는 빅데이터·사물인터넷·인공지능에 5G 기술을 융합하는 정도에 따라 고용창출효과는 변동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G 상용화에 중소기업이 협력사로 참여하는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5G 기술 R&D(연구개발)에 중소기업 지원, R&D 관련 신규 채용 조건으로 R&D를 지원하는 정책 프로그램 설계 등 중소기업이 5G 상용화에 따른 수혜를 누릴 수 있는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