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업서비스-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 재취업, 적절한 컨설팅 위한 R&D 필요
[재취업서비스-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 재취업, 적절한 컨설팅 위한 R&D 필요
  • 이윤희 기자
  • 승인 2019.07.17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장년 재취업은 '사회적 문제' 정부 지원 절실
실효성 있는 재취업 지원 서비스 위해 구체화된 커리큘럼 필요
재취업 컨설팅 및 프로그램도 연구개발 통해 발전해야..
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
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어제의 구직자가 오늘의 재직자가 되고, 오늘의 재직자가 내일의 이직자가 되는 세상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쉴 틈 없이 일터로 뛰어들고 또 새로운 일터를 찾아 떠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대 속에서 오늘날 5060세대들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다.

실질적 정년과 퇴직이 빨라지며 40대도 남 일이 아니다. 특히 다가올 미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 생태계 지각 변동이 예측되는 만큼, 중장년 세대들은 갈피를 잃은 채 새로운 일자리 찾기에 여념이 없다.

일자리 수는 한정적인데 퇴직자·이직자들이 대거 몰리며 중장년 층 일자리 시장은 현재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정부도 고용상 연령 차별 금지와 일명 '재취업 지원 서비스 법'을 통해 이들의 새로운 일터 발굴을 지원하겠다고 두 팔을 걷어붙였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의 '재취업 지원 서비스'라는 명칭을 단 각종 서비스와 지원들이 실효성 없는 허울뿐인 지원에 그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5년 이상 4050 세대의 재취업 지원 및 컨설팅을 제공해 온 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직과 재취업, 과연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일까?
개인이 새로운 직업을 찾기 위해 이직을 준비하고 퇴직 후 재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은 온전히 개인의 몫일까? 이 질문에 간호재 소장은 'NO'라고 답한다.

그는 "실직은 누구에게나 언제든 벌어질 수 있고, 개인의 실직은 가족 전체와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라고 강조한다.

특히 최근 들어 베이비부머 세대와 같이 이직 및 퇴직 예정자가 대거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게 간호재 소장의 소견이다.

간호재 소장은 "정부는 적절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실직자들을 위해 계층별 맞춤형 재취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문제를 정부가 해결해 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부가 제아무리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구직자 본인의 노력 없이는 실현 불가능한 정책으로 끝마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재취업 지원 서비스나 프로그램, 지원금 등을 당연하게 받아야 하는 혜택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저 세금 낭비에 그칠 수 있다."고 조언하며 "일정 세대와 실직자, 이직자라는 한정적인 대상을 향해 정책이 마련되고 국비가 지원된다면 혜택을 받는 이들의 책임감도 수반돼야한다"고 당부했다.

■자발적 참여율 높일 수 있는 실효성 높은 프로그램 있어야
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은 구직자, 이직자 등 개인들의 노력과 참여를 당부하면서도 현재 우리나라 재취업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과 컨설팅 등의 미흡한 수준을 지적했다. 프로그램 자체가 개인에게 실효성 없는 내용이다보니 굳이 개인이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은 시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재취업 지원 서비스 법이 강화된다 하더라도 유명무실한 제도로 남게 될 것을 우려했다.

재취업 지원 서비스 법은 기업에게 개인의 재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이나 컨설팅 등 프로그램 제공을 의무화하자는 것인데, 저품질 서비스의 경우 퇴직자나 이직 준비자가 굳이 시간을 할애해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간호재 소장은 "현재 전직지원,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제대로 된 커리큘럼도 마련되지 않은 채 리더십 함양, 마인드컨트롤 등의 심리 치료·지원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며 "이름은 재취업 지원인데 실질적으로 재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15년간 재취업 지원, 재취업 컨설팅 등을 이끌어오며 숱한 이직자와 구직자들을 만났다. 성별, 연령,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장 답을 얻고 싶은 질문은 3가지였다고 말한다.

바로 ▲취업 가능성 ▲취업 시점과 방법 ▲재취업 시 임금 수준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재취업 지원 컨설턴트들이 위 질문에 대한 답을 갖고 있지 않다. 결국 가장 필요한 질문에 답을 얻지 못한 개인의 참여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

간호재 소장은 "회사에서 제공하는 재취업 서비스 프로그램보다 자신이 채용 사이트를 검색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라면 어느 누가 관련 서비스를 받고자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기업-개인-재취업 지원 산업 종사자-정부, 각자의 역할 중요
그동안 오랜 시간 재취업이라는 분야에서 청춘을 보내온 간호재 소장은 국내 재취업 지원 서비스 분야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인식 변화'라고 꼽는다.

간호재 소장이 말하는 인식 변화는 단순히 개인에 국한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기업과 개인, 재취업 지원 산업의 관계자들, 그리고 정부 모두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2020년 5월 1일 재취업 지원 서비스 법 도입이 된다면 기업의 인식 변화는 무엇보다 중요해진다. 기업이 퇴직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재취업지원서비스를 단순히 과제로만 여길 때, 퇴직예정자의 인생 2모작을 돕겠다는 본 취지에 부합할 수 없게 된다는 게 요지다.

간호재 소장은 "재취업 지원 서비스 제도의 성공 여부가 법령과 시행령으로 강요되는 형태여서는 안된다"며 "기업의 입장에서 재취업 지원 서비스는 새로운 규제이고 비용 발생의 문제다. 인도적인 뜻을 갖고 있지 않다면 최소한의 비용 지출을 위해 저품질 서비스만 양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도 정부가 일정 부분 제도의 정비를 통해 기업의 책임을 감시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했다. 그는 "정부 역할을 기업에 일임한 만큼 정부도 책임이 뒤따른다"며 "재취업 지원 서비스를 의무화해야 하는 기업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비자발적 퇴직의 사유를 폭넓게 인정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쟁력 있는 재취업 지원 관련 프로그램과 상품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건 관련 종사자들과 기업의 역할이다. 또 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일은 개인의 몫이다."며 "정부의 역할은 이들이 각자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고 소신을 밝혔다.

돈꿈연구소 간호재 소장은?
▪ 現) 돈일꿈연구소장 (중장년 재취업, 인생2막 설계, 1인 지식기업 전문 1인 기업)
▪ 現) 4050 재취업 컨설팅 서비스 제공 중
▪ 사무직 베이비부머 퇴직설계 프로그램 개발(‘13년, 한국고용정보원, 공동개발)
▪ 장년 나침반 생애설계 프로그램 개발(‘15년, 노사발전재단, 공동개발)
▪ 4050 재취업 성공의 비밀 출판(‘18년5월, 도서출판 유심)
▪ 전) Right Management Korea 커리어 컨설팅 총괄
▪ 전) JMCareer 커리어 컨설팅 총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