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솔켈리 컨설팅, ‘2019 아시아태평양 노동 시장 현황 조사’ 발표
퍼솔켈리 컨설팅, ‘2019 아시아태평양 노동 시장 현황 조사’ 발표
  • 이효상 기자
  • 승인 2020.02.12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직장인 과반수 이상이 2회 이상 이직 경험
한국 직장인, “본인보다 나이 어린 상사”와 일하는 것에 아태 국가 중 가장 거부감 가져
한국 직장인, 가장 일하고 싶은 나라는 “미국”,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해외 근무 의지 높아
퍼솔켈리 컨설팅 홈페이지 캡쳐
퍼솔켈리 컨설팅 홈페이지 캡쳐

[아웃소싱타임스 이효상 기자] 글로벌 인사 조직 컨설팅 기업인 퍼솔켈리 컨설팅(PERSOLKELLY  Consulting)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APAC) 14개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아시아 태평양 노동 시장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 태평양 14개 국가의 직장인 총 140,00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했다. 조사 내용은 r근로 현황 r조직 문화 및 직업 만족도 r일에 대한 의식 r일에 대한 기대와 자기계발 및 성장 r해외 근무 등 다섯 가지 파트로 나누어져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노동 현황 및 직업 의식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한국 직장인,  평균 이직 경험 2.5회, 과반수 이상이 2회 이상 이직 경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은 평균적으로 2.5회의 이직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과반수인 53.7%는 2회 이상의 이직을 했다고 응답했다. 한 번도 이직을 해 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5.8%로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 일본, 중국, 베트남에 이어 높은 응답을 차지했다.  비교적 자주 이직을 하는 국가는 뉴질랜드(평균 3.9회), 호주(평균 3.5회), 홍콩(평균 3.1회), 싱가포르(평균 3.1회), 대만(평균 3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직장인, 가장 일하고 싶은 국가는 “미국”과 “독일”

해외에서 일할 기회가 있을 경우, 한국 직장인이 가장 일하고 싶은 국가는 1위로 미국(52.4%)에 이어 독일(33.1%), 그리고 호주(31%)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14개 국가 중 유일하게 독일을 3순위권 안으로 꼽았다. “해외에 나가지 않고 우리 나라에서 일하고 싶다”는 응답은 9.3%로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낮았다. 이는 한국인 직장인 대부분이 해외 근무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 직장인,  가장 많이 하는 자기계발은 관련 서적 읽기

한국 직장인이 퇴근 후 선호하는 자기계발은 독서(40.6%), 어학 공부(31.7%), 세미나, 스터디 코스 등 참여(30.3%)로 나타났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2.3%로 14개 국가 평균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한국 직장인들은 평균적으로 1.96개의 자기계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직장인,  직업을 선택할 때 기업 규모를 중요시 여겨 

한국 직장인은 설문 조사 대상인 14개국 가운데 “기업 규모 및 인지도”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을 선택할 때 기업 규모 및 인지도를 신경 쓰지 않는다”는 질문에 대해 5점 만점 중 3.3점으로 14개 국가 중 가장 낮은 응답을 보였다.

한국 직장인,  본인보다 나이 어린 상사와 일하는 데에 큰 부담 가져

또한 한국은 14개국 가운데 “나보다 나이 어린 상사와 일해도 문제없다”는 질문에 대해 5점 만점 중 평균 3.4점으로 가장 낮은 응답을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 상사, 외국인 등과 일하는 것에 대한 수용도는 일본에 이어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밖에 이번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시아태평양 14개 국가 직장인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원하는 소득을 얻는 것”이었다. 본 응답은 9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인도 및 호주에서는 “일과 개인 생활의 균형”, 말레이시아에서는 “고용 안정성”이 1위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직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급여에 만족하지 않기 때문(24.6%)”이었다. 다음으로 “더 넓은 경험과 지식을 쌓기 위해(22.1%)”, “더 좋은 조직 문화에서 일하기 위해(18.3%)”가 높았다. 단, 한국은 “업계 및 시장의 불확실성(24.1%)” 때문에 이직을 희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퇴직을 희망하는 나이는 일본(63.2세)에 이어 한국(62세)로 높았고, 이어 호주(60.5세)와 뉴질랜드(60.4세), 중국(58.9세)이 뒤따랐다. 동남아시아 국가의 희망 퇴직 연령은 58 세 미만이며, 특히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및 말레이시아에서는 55 세 미만으로 파악됐다.

○근무 외 자기계발에 대한 욕구는 동남아시아와 인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국가의 직장인들은 공통적으로 “독서”, “연수, 세미나 및 스터디 참여” 및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반면 자기계발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일본(46.3%), 호주(21.5%), 싱가포르(18.3%)와 홍콩(18.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시아지역 직장인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하는 해외 국가는 미국, 호주, 영국 순이었다. 미국은 7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이 외에도 영어권 국가들의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 일본의 경우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직장인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하는 지역 1위를 차지했다. “해외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의 경우, 일본(57%), 뉴질랜드(25.7%), 호주(24.9%),  중국(24.2%)이 높은 분포를 보였다.

○한국, 일본, 대만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상사의 지시에 따르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조화롭게 생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조직 문화로 파악됐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과정보다 결과가 중요하며, 빠른 결정과 처리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싱가포르 역시 동아시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동남아시아, 인도 및 오세아니아에서는 “좋은 팀워크”와 “수평적인 협업”이 이상적인 조직 문화로 파악됐다.  응답자들은 활발한 의견 교환과 공동의 목표를 이루는 것을 중요하게 평가했으며, 단기적인 결과에만 집중하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을 고려하며,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의 경우, 일반적인 조직 문화를 묻는 질문에 이례적으로 "동료들과의 경쟁을 바탕으로 성과를 평가한다”는 항목이 4위를 차지했다. 해당 항목은 14 개 국가중 유일하게 10위권을 기록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승진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개인 생활을 희생하더라도 일을 완수하여 승진하기를 원한다” 등의 항목에 인도, 태국,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높은 응답을 보였다. 반면, 한국과 일본, 뉴질랜드 등은 저조한 응답을 기록했다.

○동아시아 국가의 조직에서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업무 관리뿐 아니라 정서적 방법을 통해 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시아 국가의 상사들은 잘한 일에 대해 칭찬을 하고 노고를 치하함으로써 부하직원의 동기를 향상시킨다고 파악됐다. 반면, 오세아니아와 싱가포르에서는 상사들은 업무 관련 문제에 대한 조언과 일관성 있는 평가 등 일과 관련된 문제를 통해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한국 및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는 다양성에 대한 수용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해당 국가들은 여성 상사, 본인보다 나이가 젊은 상사, 외국인과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해 비교적 높은 거부감을 보였다. 반면, 베트남, 필리핀, 호주 및 뉴질랜드는 해당 질문에 대해 높은 수용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퍼솔켈리 컨설팅 아태 사장 전유미 대표는 "조사에 의하면 일찍이 경제 성장을 경험한 동아시아 등의 지역과 최근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 근로자들이 일에 대해 상이한 생각과 기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며, “단 경영자들은 이 차이를 단순히 경제 발전 과정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그보다는 각 나라의 역사, 조직문화, 가치관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다양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고 국내 기업들도 지사별 근로자들의 기준에 맞는 인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19 아시아태평양 노동 시장 현황 조사 자료 전문은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