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코로나19 확산 이후 비정규직 월급 줄고 일자리도 사라져
[이슈]코로나19 확산 이후 비정규직 월급 줄고 일자리도 사라져
  • 손영남 기자
  • 승인 2020.04.29 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 증발된 일자리 22만 5000개중 취약계층 21만 7000명 실직
안전한 상용직 vs 휘청이는 비정규직..일자리 양극화 심화 조짐
코로나 사태 이후 비정규직 소득 감소 정규직의 2배에 달해
사진제공 공공연대노조
코로나19로 몰아친 경제한파가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 소득감소는 물론이고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상황이다. 사진제공 공공연대노조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코로나19가 촉발한 경제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것은 예상대로 비정규직이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비정규직의 소득이 줄어든 것은 물론이고 일자리마저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지난 27일,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직장생활 변화’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비정규직 세명중 2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소득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이는 정규직(35.0%)보다 2배가량 높은 수치다.

비정규직 내에서도 프리랜서·특수고용직(75.9%), 일용직(71.4%), 아르바이트 시간제(62.6%) 순으로 소득 감소 경험이 높았다.

안 그래도 상대적 저임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에서 소득 감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소득별로 보면 월급 500만원 이상인 사람 중 소득이 줄었다는 사람은 24.1%에 불과했지만 월급 150만원 미만은 70.2%가 줄었다고 답했다. 

비정규직들은 줄어든 소득으로 생계에 위협을 느끼는 상황에서 일자리마저 흔들리고 있었다. 권고사직이나 무급휴업 강요 등 부당한 조치를 서슴지 않고 있기 때문. 19.5%에 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무급휴업 강요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이는 정규직(8.0%)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아예 일자리를 뺏기는 상황마저 심심찮게 발생하는 것이 더 문제였다. 권고사직과 해고의 경우 비정규직(8.5%)이 정규직(3.5%)보다 2배 이상 높았던 것. 코로나19로 경영 위기를 느낀 원청이 사태를 악용하고 있다는 증거인 셈이다. 응답근로자 90.7%는 원청업체의 사용자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아 원청업체들이 비정규직 처리에 큰 고민을 안고 있지 않음이 분명하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일자리가 흔들리고 있다는 증거는 숫자로도 나타난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2020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가 그 증거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영업일을 기준으로 1명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1827만 8000명이다. 지난해 3월(1850만 3000명)보다 22만 5000명(1.2%)이나 감소했다. 전년 같은달 대비 종사자수가 감소한 것은 해당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사라진 근로자의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라는 점이다. 정규직이랄 수 있는 상용직 종사자는 지난해 동기보다 단지 8000명이 줄어드는데 그친 반면 임시·일용직(164만 8천명)과 기타종사자(107만 8천명)는 각각 12만 4천명(7.0%)·9만 3명(7.9%) 줄어들어 증발된 일자리의 대부분이 비정규직에 몰려있음을 확인할 수 잇다.

비정규직 100명 중 7~8명은 일자리를 잃은 상황. 문제는 앞으로도 이같은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확률이 크다는 데 있다. 이와 관련된 대책이 적절하게 준비되지 않는다면 많은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을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 정부의 대처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