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봉쇄조치 본격화 되면 3명 중 1명은 실직 위기
코로나 봉쇄조치 본격화 되면 3명 중 1명은 실직 위기
  • 손영남 기자
  • 승인 2020.08.19 0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
전체 일자리의 35% 차지 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 위험 
전체 일자리의 35%를 차지하는 비필수, 비재택근무 일자리는 코로나 봉쇄령 발효시 일자리 상실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자료제공 한국은행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잠잠해져가는가 싶던 코로나 확진자 수가 다시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봉쇄조치의 가능성이 언급되는 실정이다. 이 경우, 국내 취업자 3명 중 1명은 실직의 위협에 놓이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한국은행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BOK 이슈노트)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35%에 달하는 비필수·비재택근무자들은 단기적으로 실업위험에 크게 노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는 큰 무리 없이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반면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노동공급에 상당한 제약이 발생할 것이라는 판단에 전제한 예측이다.

또한 고대면 접촉 일자리의 경우도 고용악화의 우려가 크다는 것이 보고서의 입장이다. 감염병 확산세가 잦아들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더라도 대면접촉도가 높은 일자리는 감염병 확산의 매개가 될 가능성이 높아 고용악화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된 이후 콜센터, 물류센터, 방문판매업체 등 대면접촉이 많은 일자리를 중심으로 산발적인 확산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대면접촉도가 높은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고용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실업 위험에 장기간 노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주장한다.

한은은 일자리의 특성에 근거해 비필수·비재택근무·고대면접촉 등 3가지로 일자리를 분류했다. 이들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42%, 74%, 55%를 각각 차지했다.

이는 비단 일자리 특성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특성별로 살펴볼 경우 저소득, 저학력, 청년, 여성 등 취약 계층에서 고용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후의 고용상황 악화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또한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실업이 늘어날 경우 이력현상이 심화되고 고용회복 기간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취업자 수 감소의 대부분이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필수 일자리의 높은 기여율은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주, 소비자 등을 중심으로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조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음을 의미한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는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