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동상담, 비정규직 상담건수 절반 넘어
서울시 노동상담, 비정규직 상담건수 절반 넘어
  • 손영남 기자
  • 승인 2020.09.02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용직, 기간제, 파견‧용역 등 비정규직노동자 상담 58.9%
상담 1만 7000여건 중 '임금체불·근로시간·징계' 대다수
권리구제지원 신청 3건 중 1건은 단순노무직종사자
서울시가 노동상담을 진행한 결과 비정규직이나 단순노무직 등 취약계층의 상담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서울시가 진행한 찾아가는 무료상담 모습.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서울시가 지난 한 해 동안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피해구제를 위해 총 1만 7천여 건의 노동상담을 진행한 결과 일용직, 기간제, 파견‧용역 등 비정규직노동자 상담이 전체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용직, 기간제, 파견‧용역 등 비정규직노동자 상담이 58.9%로 많은 부분을 차지(정규직 35.1%, 무기계약직 6.1%)했으며, 직종별로는 청소‧경비‧주차관리 등 단순노무 종사자가 27.1%로 높은 편이었다.

이를 반영하듯 업종 역시 청소, 경비, 주차관리 등 용역업체가 포함된 ‘사업시설관리업’ 소속 노동자가 많았다. 비정규직 중에서는 기간제(21.2%)와 용역노동자(10.8%)가 높은 비중이다. 

상담내용별로 보면 ‘임금체불’과 ‘근로시간’ 관련이 가장 많았다. 전체 상담의 절반가량은 ▲임금(16.6%) ▲근로시간‧휴가(16.6%)  ▲징계‧해고(14.2%) 등 노동자의 생계와 직결되는 문제였으며, 노동권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취약노동자 일터를 중심으로 매년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3가지 유형이 전체 상담의 47.4%를 차지했는데, 이는 노동자의 생활에 즉각적인 어려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빠른 해결과 지원이 필요한 것들이다.

상담자는 30~50대(63.7%)가 대부분이었는데, 눈여겨 볼만 한 것은 노령인구 증가로 60~70대 상담이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2018년 19.1%→2019년 22.3%)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담방법은 따로 시간을 내기 어려운 취약노동자들의 특성상 ‘전화상담’이 11,287건(65.7%)으로 가장 많았고, 지하철 역사 등을 ‘찾아가는 노동상담’도 1,482건(8.6%)이나 됐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지난 4년간 서울시 노동권리보호관을 통해 진행한 ▲임금체불 진정 ▲부당해고 구제 ▲산업재해 신청 등 ‘권리구제지원’ 567건에 대한 처리 결과도 발표했다. 

권리구제 신청은 50대(21%)~60대(22%)가 많았으며, 임금체불 등 노동청 진정이 대부분(63.8%)이었다. 구제지원 결과 2건 중 1건(47.3%)은 합의를 이끌어 냈으며, 사업주의 내용(일부) 인정도 22.8%에 달했다.  

한편, 권리구제지원 신청 3건 중 1건은 단순노무직종사자(36%, 204건)였는데 이 중 86건(49.1%)이 ‘경비노동자’관련이었다. 신청 내용은 휴게시간 과다산정과 법정수당 미지급에 따른 ’임금체불(72.1%)’과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한 ‘징계,해고(16.3%)’ 관련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비노동자들의 노동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시는 지난 6월, ‘경비노동자 노동인권 보호 및 권리구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원스톱 ‘전담 권리구제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에서는 신고에서 갈등 조정, 법률 구제, 산재처리지원, 부당해고 구제까지 다각도의 지원책을 가동 중이다. 

한편 노동자 상담현황과 사례를 담은 책자 ‘서울시민과 나눈 노동상담’은 자치구 및 노동관련 단체, 노동조합, 학교 등에 배포되며, 서울노동권익센터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서성만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은 “서울시는 노동으로 하루를 여는 노동자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보장받고 고용불안과 생존권 위협에 시달리지 않도록 노력 하겠다”며 “현재 운영 중인 16개소의 노동자종합지원센터를 ’21년까지 25개 모든 자치구에 설립해 노동자 모두가 공평한 노동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