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세대, 근로지속 희망 평균나이 70세.."소득이 필요해"
5060세대, 근로지속 희망 평균나이 70세.."소득이 필요해"
  • 이윤희 기자
  • 승인 2020.10.05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포럼, '신중년의 경제활동 실태와 향후 과제' 발간
신중년 2명 중 1명 70세 이상 근로 희망..이유는 '경제적 요인'
퇴직 후 선택 폭 좁은 신중년, 대다수 '임시·일용직' 또는 '자영업'
5060세대 10명 중 8명 이상은 향후 노후 생활에서 경제적 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
5060세대 10명 중 8명 이상은 향후 노후 생활에서 경제적 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베이비부머 세대', '신중년'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 우리나라 5060 세대 중 절반 이상은 70대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을 하고 싶어하는 의욕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재취업지원서비스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에 머물러 있어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지표는 지난 10월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한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신중년의 경제활동 실태와 향후 과제(이아영 연구위원)'의 보고서에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중년 중 대다수는 노후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삶에서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물음에 83.6%가 '중요하다'고 답한 것. 중요하지 않다는 답변은 1.7%,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답변은 0.2%에 그쳤다.

같은 조사에서 현재 5060세대에 속하는 이들 중 다수는 75세까지는 근로활동을 지속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근로활동 지속 희망 연령은 평균 69.2세였다.

조사에 따르면 근로활동 지속 희망 기간은 70세 이상 75세 미만이 전체 응답 중 38.6%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65세 이상 70세 미만으로 근무하고 싶다는 비율도 28.6%를 넘기며 사회적으로 정해진 '정년'보다 근로활도을 더 지속하길 희망하는 이들이 많았다.

심지어 75세 이상까지 일하고 싶다는 응답도 21.3%를 기록하며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반면 60세 미만과 60세 이상 65세 미만까지 근로활동을 지속하길 희망하는 비율은 각각 1.4%와 10%로 낮게 나타났다.

노후 근로활동 희망 이유는 단연 노후 소득과 생계 문제 등 경제적 요인이 결정적이였다. 시신중년년의 과반수인 58.1%가 소득을 위해 근로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답한 것.

건강을 위해(16.8%), 자기 발전을 위해(11.6%), 여가시간 활용을 위해(7.1%) 등 경제 외적인 요인으로 자발적 근로를 희망하는 이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신중년 세대가 정년 이후에도 근로활동을 지속하길 희망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요인은 '소득'이었다.(자료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중년 세대가 정년 이후에도 근로활동을 지속하길 희망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요인은 '소득'이었다.(자료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하지만 높은 경제활동 욕구와 달리 이들에게 주어진 일자리의 선택 폭은 좁았다. 특히 대부분의 일자리가 임시직과 일용직에 머물러 있어 한계점이 드러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50대의 경제활동 실태 변화를 살펴본 결과, 50대 이전 상용직에 근무한 비율이 38.9%였다면 50대 이후에는 27%로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시직의 비율은 6.4%에서 8.1%로 증가했으며 일용직은 3.9%에서 4.2%로 증가했다.

가장 많이 증가한 비중은 '단독 자영업'이었는데, 50대 이전 단독 자영업 비중이 37.7%였다면 50대 이후에는 46%까지 증가했다. 이와같은 조사결과는 많은 이들이 퇴직 후 사회적 한계에 가로막히거나 자발적 선택에 따라 자영업 창업을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번 보고서를 발간한 이아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신중년 세대는 양호한 건강 수준과 높은 교육 수준을 기반으로 경제적 안정과 활력있는 노후를 위해 현업에서 더 오래 일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이들의 취업 기회와 선택의 폭은 제한적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신중년들을 위한 지원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돼야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5월 1일부터 신중년이 재취업 지원을 위해 1000인 이상 대기업의 50세 이상 비자발적 퇴직자를 대상으로 한 '재취업지원서비스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의무화 대상 규모가 지나치게 집약적이라는 지적이 이어지며, 현 5060세대가 정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의무화 규정을 확대하고, 감시·감독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