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사는 게 좋아”서울 인구 줄어도 1인 가구는 급증
“혼자 사는 게 좋아”서울 인구 줄어도 1인 가구는 급증
  • 손영남 기자
  • 승인 2020.11.26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인 가구 비중 33.9% 차지..40년 만에 16배 증가
서울 1인 가구의 62.8%, 계속 1인 가구 희망
1인 가구 40대 접어들면 경제적, 심리적 안정성 하락
서울시 1인가구 관련 통계. 자료제공 서울시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사회 구조 및 의식의 변화 때문일까. 나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40년 만에 약 16배 증가해 전체 가구의 33.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서울시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의 1인가구는 약 130만가구로 40년 전인 1980년 8만 2000가구에 비해 16배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서울의 전체 가구 수 가운데 33.9%에 해당하는 규모다.

서울인구는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인 가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38년 까지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전체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은 2047년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고령화에 따른 독거 노인가구의 증가와 만혼·비혼 등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조사에 응한 응답자 중 40.9%는 서울시가 1인 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하며, 62.8%가 계속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했다. 1인 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73.1%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을 꼽았다. 이어 나 자신을 위한 투자·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순이었다.

다만 혼자 사는 서울시민이 더 행복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과도 나왔다. 다인가구와 비교한 1인가구 행복도는 30대까지는 높았으나 40대 이후부터는 낮아졌다. 개인 재정상태 만족도, 사회생활 만족도, 건강상태 만족도는 40대부터, 직업 만족도는 50대부터 크게 감소했다.

그래서일까. 1인 가구의 30.1%는 1인 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이고, 1인 가구의 35.9%는 ‘1인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있다고 생각했다. 

1인 가구의 주거형태는 다양해지는 추세다. 1995년 이전에는 70% 이상이 단독주택에 거주했으나 2019년 조사에서는 단독주택 40.4%, 아파트 22.1%, 다세대 주택 17.2% 순으로 집계됐다. 오피스텔이나 숙박업소객실, 고시원 등 주택이외 거처 비율도 15.4%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으로는 주거안정지원이 55.0%, 기본소득지원 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 19.3% 등의 순이었다. 여성과 20대, 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에, 40대 이상은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을 보이는 등 성·별 연령별로 1인 가구 정책수요의 특성을 보였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25일 “1인 가구 정책은 성·연령·직업 등 가구 특성에 따라 정책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다”며 “서울시는 1인 가구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으로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