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CEO 89.5% "2021년도 경기 침체 이어질 것"
중소기업 CEO 89.5% "2021년도 경기 침체 이어질 것"
  • 김민서 뉴스리포터
  • 승인 2021.01.14 1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전망 조사 결과, 10명 중 5명 "작년보다 심해질 것"
전년 대비 심각한 경제전망 이유, 코로나19 장기화가 견인
2020년 대비 올해 매출액 변화 예상 조사 결과다. (제공= 중소기업중앙회)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서 뉴스리포터]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로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소기업 CEO 둘 중 한명은 올해 경제 상황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2021년 경기침제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올해도 경기침체가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상당수 제시된 것.

이와같은 내용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1월 4일부터 7일까지 411개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CEO가 바라본 2021년 경영전망조사’에 담겼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 10명 중 5명은 올해 국내 경제전망에 대해 2020년 보다 심각할 것으로 예측했다. 과반수에 가까운 47.7%가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은 것. 올해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예측한 응답도 41.8%를 차지하며, 2021년 경제 상황에 반등을 기대하고 있는 CEO는 소수에 그쳤다. 올해 경제상황이 지난해 대비 양호할 것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10곳 중 1곳 수준인 10.5%에 불과했다.

심각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과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을 합산하면 총 89.5%다. 10명 중 9명이 올해 경제상황에 대해 낙관적 견해를 내놓지 못한 셈이다.

2020년보다 올해 경제전망이 심각할 것으로 전망한 이유에 대해, 국내적 사유에는 86.7%가 코로나19로 인한 내수부진 지속을 꼽았으며, 10.2%는 기업규제 중심 법안과 정책이라고 답했다. 이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3.1%)가 원인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대외적 사유에는 75.0%가 전 세계적 성장률 둔화를 꼽으며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어 수출규제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13.3%), 미·중 무역분쟁(7.1%), 대북 리스트 지속(1.5%), 기타(3%) 등이 뒤따랐다.

중소기업 CEO 다수는 올해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비슷하거나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2020년 대비 올해 매출액 변동 전망에 대해 '유사할 것'이라는 답변에 47.4%가 답했으며,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37%를 차지했다. 반면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은 15.6%로 나타나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과 2배 이상 차이 났다.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예측하고 있는 감소 규모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넘는 55.3%는 2020년 대비 매출의 10~30%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집계뙜다. 

올해 경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대내외 요인은 복수응답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경기심리회복 여부는 71%, 정부의 금융 및 세제지원 등 정책지원 여부는 46.2%가 응답했다. 기업운영요건인 인건비·운영자금 등의 충족여부는 33.6%, 기업규제정책 완화 여부는 29.2%, 경쟁업체 등장 대기업 진입 여부는 10.5%가 집계됐다. 이외에도 기타에 1.7%가 응답했다.
      
한편, 올해 정부 및 국회에 바라는 중소기업 지원정책으로는 내수활성화 지원(48.2%, 이하 복수응답)이 1순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정책금융·세제지원 강화(43.8%), 기업 활동에 대한 과도한 규제입법 완화(38.2%), 주 52시간 근무제 보완(27.5%) 등 중소기업을 옥죄는 각종 법·제도에 대한 지적이 주를 이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내수위축 및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중소기업의 매출액 등 경영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경영활력 회복을 위한 다양한 내수활성화 지원정책과 함께 최근 경영활동을 옥죄고 있는 경제3법,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주52시간 근무제 등 규제법안 및 정책들에 대한 보완입법 마련 등 정부차원의 정책적 배려와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