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6년까지 디지털인재 100만명 양성한다
교육부, 2026년까지 디지털인재 100만명 양성한다
  • 김윤철 기자
  • 승인 2022.08.23 09: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중 정보교육 대폭 강화…디지털 교육체제로 대전환
디지털 혁신공유대학·SW중심대학·신산업특화 전문대학 등 확대
초·중 정보교육 수업시수 2배 이상 확대 편성…코딩교육 필수화
‘교직과목 세부이수 기준’에 디지털 소양 함양 기준 반영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 제공=교육부)

[아웃소싱타임스 김윤철 기자] 정부는 전 국민의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와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이하,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종합방안에 따라 디지털 산업계에서 활약할 전문인재부터, 인문‧사회계열 등 각자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재, 그리고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에 친숙한 인재 등 수준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들이 범부처에서 다양하게 추진될 계획이다.

더불어 미래세대의 디지털 친숙도를 제고하고 디지털 인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이 대폭 강화될 예정이다.

(자료 제공=교육부)

디지털 분야의 인재양성 규모는 지난해 정부 재정사업 기준 9만 9000명(석·박사급 약 1만 7000명)이다. 향후 5년 동안 인재 수요는 초급 9만명, 중급 52만명, 고급 12만 8000명 등 총 73만 8000명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필수화 이후에도 교육계와 산업계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기초소양 함양을 위해 정보교과 등 디지털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업, 학교 등 현장 방문과 다양한 협의체를 통한 산업계·교육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전문가들과 폭넓은 토론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교육부 등 관계부처는 첨단 디지털 산업 현장 등에서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민·관·학이 양성할 수 있도록 이번 종합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 인재양성을 추진한다. 지난달 19일 발표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에서 제시된 고등교육 규제개혁과제와 계약학과 관련 사항은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하도록 한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2026년 21개 분야 목표), 소프트웨어중심대학(2027년 100개교 목표), 신산업특화 전문대학(~2026년 21개 분야 목표) 사업을 확대해 디지털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디지털 첨단분야 전공자도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21) 사업을 통해서는 신산업분야 신진연구인력을 육성하고 인공지능·메타버스·사이버보안·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소프트웨어·인공지능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영재학급도 2025년까지 70개로 확대 운영한다. 디지털 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현재 6개교에서 권역별 1~2개교로 확대하고, 디지털분야 취업맞춤특기병을 확대해 병역 중 역량을 지속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전공(도메인)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인재양성도 주력한다.

인문·사회 등 다양한 전공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역량 향상 지원을 위해 대학-민간 연계 집중 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을 도입하고 융복합 능력 배양과 학사제도 유연화를 위한 대학 혁신을 지원한다. 

재직자 전환교육을 위해 시도별 우수 전문대학은 직업전환교육기관으로 지정·운영한다. 또 고경력 은퇴자 등을 디지털 전환 전문가로 육성하고 다양한 산업분야 재직자 대상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훈련을 확대 제공한다.

기업이 주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고,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 기업을 ‘디지털 선도(리더스) 클럽’으로 인증해 인프라 지원, 정부 연구개발사업 가점 등 혜택도 부여한다. 취업준비생 직업훈련을 위해 폴리텍대학 내 디지털 직업훈련(하이테크) 과정을 운영(1230명)하고, 민간주도 직업훈련(K-Digital Training)도 확대(28만5천명)한다.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교양교육, 인공지능 튜터링 등 대학의 자율적인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고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내 디지털 등 신기술 분야 강좌를 2025년까지 20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

소프트웨어 동아리 등 자발적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특히 병사 복무 중 자기개발과 전역후 취·창업 지원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온라인 교육을 2026년까지 5만 명에게 제공한다.

(자료 제공=교육부)
(자료 제공=교육부)

디지털 저변 확대를 위해 정보교육을 확대한다. 20225년부터 초등학교 34시간, 중학교 68시간 이상 등 정보교육 수업시수를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편성한다.

또 초등학교 대상 정보선택과목 도입, 중·고등학교 대상 학교장 개설과목 확대, 초·중학교 대상 컴퓨터언어(코딩)교육 필수화, 소프트웨어·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를 통해 보편적인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6년까지 인공지능 융합교육 중심고를 180개교까지 확대하고 방학 중(방과후) 디지털 캠프 지원, (가칭)온라인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 지원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기회를 다각도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024년부터 3년 주기로 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문해교육도 강화해 나간다. 디지털 문제해결 센터를 통해 학생과 지역민에 디지털 교육을 내년부터 제공하고 농어촌 초등학교 약 1800개교 등 교육소외지역 학교에는 디지털 튜터를 올해부터 배치한다.

디지털 교육·경험·자격 이력을 증명하는 ‘디지털배지’의 활용과 확산도 지원한다. 디지털 분야 전문인재로 체계적 성장을 지원하는 진로상담, 후속과정 우선선발권 등 ‘재능사다리’를 구축한다.

정부는 다양한 정보교과 교원을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 필요 정원을 반영하며, 대학 교수로 민간전문가를 활용하기 위한 규제 개선, 지원책 마련,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추진한다.

융합역량 향상과 순회교사 해소 등을 위해서는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원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인공지능 융합교육 연수 대상을 2027년까지 7000명으로 확대하고 대학 교수 대상 국내·외 장기연수 이수체계를 개발·지원한다.

‘교직과목 세부이수 기준’에 디지털 소양 함양 기준을 반영하고 디지털 역량 함양 (예비)교원 양성을 위한 추진체계를 구축·운영한다.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시스템을 지원하고 디지털 교과서 및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 등 디지털 콘텐츠를 확대·보급한다. ‘인공지능교육진흥법’과 ‘교육분야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하고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 및 마이포트폴리오(디지털 배지 연계) 등도 구축해 나간다.

정부는 향후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과 사업·연구를 총괄 지원하는 전문기관을 설립(지정)하고 디지털 인재 연합체를 구성해 민·관 개방형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수 유학생과 해외 인재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도 병행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이어나가기로 했다”면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살아갈 모든 국민이 기초소양으로써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교육체제 내에서 디지털 친화적 인재를 적극 양성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