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여성 재취업까지 평균 7.8년 소요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까지 평균 7.8년 소요
  • 손영남 기자
  • 승인 2020.02.13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력단절여성 30% 20대 후반..28세 퇴사, 36세 취업 시도
여가부, 2019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발표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 재진입에는 평균 7.8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여성 구직자

[아웃소싱타임스 손영남 기자] 여성들이 경력단절을 경험한 후 다시 직장을 구하는 데는 평균 7.8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 3명 중 1명은 20대 후반이었으며 경단녀 절반 이상은 출산 이전에 직장을 잃고 있었다. 

여성가족부는 만 25~54세 미혼, 기혼 여성 60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내용을 1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만 25~54세 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양육, 가족 돌봄 등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3명 중 1명(35.0%)으로 2016년(40.6%) 조사보다 5.6%p 줄었다.        

경력단절을 처음 경험하는 나이는 평균 28.4세이며 경력단절 이후 다시 일자리를 얻기까지 7.8년이 걸려 2016년의 8.4년보다 경력단절기간이 0.6년 줄어들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시점은 첫 출산 이전이 56.9%, 출산 첫 해가 23.2%이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 중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한 여성은 37.5%, 육아휴직은 35.7%로 2016년보다 각각 14.4%p(23.1%→37.5%), 20.4%p(15.3%→35.7%) 증가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한 제도는 시차 출퇴근(41.4%)으로 2016년(20.4%)에 비해 21.0%p 상승하였다.

다만, 육아휴직 사용 후 직장으로 복귀한 비중은 43.2%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후 첫 일자리 월 임금은 191만 5천원으로 경력단절 이전 임금(218만 5천원)의 87.6% 수준으로, 2016년 경력단절 전-후 임금비율 87.1% 대비 소폭 상승했다. 현재 취업자 중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현재 임금은 206만 1천 원으로 경력단절을 겪지 않고 계속 직장을 다닌 여성임금 241만 7천원의 85.3% 수준이다. 

‘경력단절 경험 이후 재취업한 첫 일자리’가 상용근로자인 경우는 2019년 55.0%로, 2016년 44.7%에 비해 10.3%p 증가했다.

경력단절을 겪지 않은 여성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지금 힘들어도 미래발전이 있는 일이어서’(38.4%), ‘가족구성원의 양육지원’(25.8%),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어서’(15.9%) 순이었다.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업 시에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자녀 양육으로 인한 구직활동시간 확보 부족’(22.8%)을 가장 많이 꼽았다. 비취업여성이 정부에 바라는 정책으로 ‘일-생활 균형이 가능한 기업 문화 조성 지원’(36.0%),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4.2%), ‘정부 지원 일자리 확대’(25.9%) 순으로 꼽았다.

일하는 여성이 경력유지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정책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확충‘(33.6%), ‘유연근무제 도입과 확대’(32.1%), ‘지속적 능력개발을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 지원’(26.5%) 순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