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심해지는 '일자리 미스매치' 구인·구직 둘 다 어려워
갈수록 심해지는 '일자리 미스매치' 구인·구직 둘 다 어려워
  • 이윤희 기자
  • 승인 2021.03.02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이후 지난해 4분기 노동시장 미스매치 11.1%
한은 "직업훈련 등으로 고용재조정하면 생산성 1.9% 상향 가능"
구인기업과 구직자간 간극을 나타내는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수가 높아졌다.
구인기업과 구직자간 간극을 나타내는 노동시장 미스매치 지수가 높아졌다.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이 몰고온 것은 고용시장 침체만이 아니었다. 구인을 하지 못해 인력 충원을 할 수 없는 기업들과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구직자들 간 노동시장 미스매치도 두배 가까이 늘어나며 노동시장 간극이 선명해지고 있다.

심화되는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에 장기적 생산성 손실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행은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등에서 발생한 실업자가 건설업, 제조업 등으로 산업 이동을 한다면 노동생산성을 1.9%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한국은행은 조사통계월보에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상황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와같은 결과를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산업 미스매치 지수는 11.1%로 추정된다.

2018년도와 2019년 평균 지수인 6.4%보보다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그만큼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높아졌다는 것. 이는 취업난 가중과 중소기업의 경영 악화를 나타내는 방증이기도 하다.

미스매치 지수는 실업자의 실업 간 이동 제약, 노동시자의 비효율성 등으로 나타나는 구인-구직 간 불균형 정도를 나타낸다.

즉, 기업은 일할 사람을 찾을 수 없고 구직자는 일할 기업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인 셈. 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확대는 생산성과 효율성 저하 뿐 아니라 실업률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어, 장기적 경제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비효율적 노동배분에 따른 노동생산성 손실은 지난 2015년 1.1%에서 지난해 1.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행 측은 실업이 다수 발생한 업종의 구직자가 구인이 많은 업종에 취업할 수 있어도롱 고용 재조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코로나19 이후 실업이 대폭 늘어난 숙박·음식업 등 대면서비스업 종사자가 인력이 부족한 건설업, 제조업 등에 취업할 경우 노동생산성을 최대 1.9%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황수빈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보고서를 통해 "노동시장 미스매치가 고착화될 경우 낙인효과 등으로 고용회복이 상당기간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기업-구직자간 정보 비대칭성 문제를 완화하고 직업교육을 강화해 산업간 고용 재조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