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능형 물재생센터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도입 추진
서울시, 지능형 물재생센터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 도입 추진
  • 김지수 뉴스리포터
  • 승인 2021.08.10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 농도 등 빅데이터 실시간 분석·예측...수질관리 용이 기대
핵심 기반인 통합 DB, 중앙감시체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서울시가 물재생센터를 AI기반 지능형 물재생센터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내용과 무관하다.)

[아웃소싱타임스 김지수 뉴스리포터] 서울시가 미래 하수처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 시내 4개 물재생센터를 AI(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물재생센터’로 전환한다. 시는 2030년까지 하수처리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완료할 방침이다.

하수처리 자동화 시스템은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인 농도 등 하수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데이터를 수집·축적해 빅데이터화하고, AI가 이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예측해 자동으로 최적의 수질 관리를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현재는 사람이 계측 자료를 일일이 분석한 후 판단해 관리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모니터링도 태블릿과 스마트폰으로 장소 제약 없이 원격으로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지능형 물재생센터로의 전환을 위해 올해부터 총 3단계에 걸쳐 관련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1단계에선 핵심 인프라인 ‘통합 DB 인프라’와 ‘중앙감시체계’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2021년 6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내보인 스마트 하수처리공정 인프라 구축 구성도다.

‘통합 DB 인프라’는 하수처리 전 공정의 감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하는 서버다. ‘중앙감시체계’는 4개 물재생센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통합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엔 센터별로 제어시스템이 각각 운영돼 센터별 데이터를 망라해 비교하기 어려웠지만 1단계 핵심 인프라 도입 이후엔 통합 감시가 원활할 것으로 보인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소 제약 없이 하수처리 공정상황을 태블릿, 스마트폰으로 파악·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시는 이후 2단계부터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3단계부터는 2028년부터 2030년까지 활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능형 물재생센터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스템이 자동화되고 감시체계가 다원화되면 하수처리 공정의 운영 효율이 극대화되고, 투명성이 강화돼 수질을 보다 체계적·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으로 관리자가 부재하는 비상상황이 발생해도 공백 없이 하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시내 4개 물재생센터에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지능형 물재생센터로 도약하고자 한다. 하수처리 운영 효율 극대화를 통해 최적의 수질 관리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능형 물재생센터를 위한 기반인 빅데이터 인프라, 중앙감시체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차질 없이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