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차별 해소 나선 은행권
비정규직 차별 해소 나선 은행권
  • 김연균
  • 승인 2013.01.08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년 연장 등 대선 이후 가속도 붙어




시중은행들이 경쟁하듯 비정규직 고용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몇 달 전만 하더라도 비정규직을 늘리고 무기계약직은 줄여 빈축을 샀던 행보와는 상반된 모습이다. 박근혜 당선자가 고용차별 철폐를 공약으로 내세운 이후 이런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이달 초 일반 계약직 사원 1,132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정년(만 59세) 보장과 급여, 복지 등 처우가 대졸 행원과 비슷해졌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계약직 85명을 무기계약직으로 바꾼 데 이어 올해는 단계적으로 계약직을 무기계약직 또는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신한, 국민은행 등도 창구 전담 텔러 등 무기계약직을 대대적으로 정규직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 노조는 이번 임단협을 통해 계약직원들도 일정 경력만 쌓으면 일반 행원이 될 수 있도록 차별 해소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달 말 임단협을 타결하면서 현재 370여명인 무기계약직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사규 개정을 마치는 내년 3월이면 차별 없는 일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한발 더 나아가 은행의 정년퇴직 나이를 60세로 현재보다 2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년 60세 이상 의무화를 공약한 새 정부 출범으로 그 동안 불가 입장을 고수하던 각 은행들도 검토 작업에 착수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이 같은 고용 개선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저성장 저금리 추세로 올해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고 있어 일부 은행들은 벌써부터 이 비용을 기존 직원에게 전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우리은행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이 비용을 기존 정규직 직원 급여 동결로 충당한 적이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자리 차별을 없애는 것은 사회적 책무이며 새 정부 눈치보기가 아니다”며 “전환 비용이 높은 것도 아니니 상황을 봐가며 인원규모를 조정할 것”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