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도 공감 못한 민노총 총파업
근로자도 공감 못한 민노총 총파업
  • 이준영
  • 승인 2014.02.26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노총이 박근혜 정부 출범 1주년인 25일 전국적인 총파업에 나섰지만 업무에 차질을 빚은 사업장은 코레일 외에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 조합원의 근로조건 개선이 아닌 정치적 목적의 파업이 현장 근로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에는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은 이날 총파업에 참여한 사업장이 부분 파업 포함 867개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총파업에 참가한 근로자들이 모이는 결의대회는 서울광장을 비롯해 전국 12곳에서 열렸다. 참가 인원은 서울이 경찰 추산 1만3000명(주최 측 추산 4만명), 전국은 2만8000명(주최 측 추산 10만명)으로 조사됐다.

민주노총은 당초 결의대회에 서울 5만명, 전국 20만명의 근로자와 시민이 모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투입된 경찰력 1만5000여명보다 집회 참가자가 적은 상황이 벌어졌다.

민주노총의 주요 투쟁 동력인 금속노조가 현대·기아자동차 노조의 불참으로 참가 인원이 대폭 줄어든 가운데 주요 사업장 중에서는 ‘공공기관 민영화 반대’를 주장하는 철도노조만 참여했다. 철도노조도 필수유지 업무 노조원 등을 제외한 파업 참가 가능 인원 8672명 가운데 22.2%인 1924명만 참가했다. 여객열차는 정상 운행했고 화물열차 운송률만 92.5%로 내려갔다.

조오현 고용노동부 노사대책지원과장은 “파업에 참여했다는 사업장들도 대부분 간부나 비번이 집회 현장에 간 정도여서 업무에 지장을 빚은 사업장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철도노조가 파업 중이던 지난해 12월23일 서울 정동 본부에 대한 경찰 공권력 투입을 계기로 이날까지 세 차례 총파업을 추진했다. 서울 결의대회 기준 참가 인원은 지난해 12월28일 1차 2만5000명에서 지난달 9일 2차 1700명으로 급감했고,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내걸고 국민적인 동참을 호소한 이날도 1만3000명에 그쳤다.

김동욱 한국경총 기획홍보본부장은 “통상임금이나 근로시간 단축 등 근로 조건과 직결되는 문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정권 퇴진과 공기업 민영화 저지를 내세운 파업에 근로자들이 동조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집회 현장에서는 공공기관 개혁에 반대하는 공기업 노조원과 일반 조합원들 간 온도차도 감지됐다. 서울광장에서 만난 이창춘 공공운수노조 조합원은 “공기업 개혁 저지를 위해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소속을 밝히길 꺼린 한 참가자는 “회사 노조 집행부의 애원에 마지못해 왔다”고 전했다. 민주노총은 오는 5~6월 2차 총파업을 벌일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