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소싱 축소 계획 ‘37%’
아웃소싱 축소 계획 ‘37%’
  • 김연균
  • 승인 2013.05.20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 공급 사업자들 전문성을 키우세요”


아웃소싱 활용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웃소싱 활용기업 인식도 조사'에서 37% 기업이 축소계획이 있다고 답변했다.


▲활용기업 인식도 조사

아웃소싱 활용기업이 공급서비스 사업자에게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으로 ‘업무 전문화’를 꼽았다.

아웃소싱타임스가 4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조사한 ‘아웃소싱 활용기업 인식도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인식도 조사는 아웃소싱(파견ㆍ도급 포함)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인사 및 총무 담당자 1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서면 조사로 진행됐으며 공공기관, 금융, 유통, 대학, 병원 등 아웃소싱 활용률이 높은 산업군을 중심으로 조사됐다.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활용기업의 해당 업무 담당자들은 아웃소싱 공급기업에게 업무 전문화(29%)를 통해 서비스 품진 개선(28%)에 주력할 것으로 주문했다. 조사에 응한 금융권 한 관계자는 “공급기업과의 계약 형태를 떠나 업계 관례상 업체가 바뀌어도 근로자의 고용이 승계되다 보니 단순한 인원관리 즉 근태, 빈자리 채우기에만 급급한 업체가 있다”며 “서비스 품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키운다면 다른 기업과의 계약을 염두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업무 전문성’과 관련해서 설문조사 기업의 23%는 신규업체 선정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전문성과 관련해서 ‘유사 업무 실적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자도 14%에 해당해 아웃소싱 업체를 고려할 경우 ‘업무 전문성’과 연관된 다양한 기준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우수한 서비스 품질은 장기계약 요건이기도 했다.

‘장기 계약 체결시 중요하게 작용하는 기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27%에 해당하는 기업이 ‘서비스 품질’을 꼽았다. 이어 ‘업무 효율 및 성과’라고 답한 응답자도 22%로 나타났다. 반면 비용절감을 위해 아웃소싱을 활용한다는 기업도 19%를 차지해 여전히 가격 경쟁력에 대한 부분이 아웃소싱 계약에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케 했다.

한편 아웃소싱 계약 기간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계약기간 2년(39%)이 가장 많았지만 1년(34%), 3년(24%) 등이 골고루 분포했다. 계약 업체 수 또한 아웃소싱 활용 업무에 따라 4개 업체(35%), 3개 업체(29%)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활용기업들 중 61%는 200명 미만의 아웃소싱 인력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금융권 일부 기업은 500명 이상의 아웃소싱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아웃소싱 인력의 절반 이상이 도급 계약 형태로 근무하고 있었다.

유통회사 한 관계자는 “인력 관리에서부터 성과까지 수급기업에 권한을 부여하기 때문에 도급 기업은 결과에 대해서만 관리할 수 있다는 편이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최근 유통 산업에 들이 닥친 이마트 사태로 인해 향후 도급 계약이 유지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최근 이마트, 현대자동차 등 불법파견 논란 속에서 아웃소싱 축소 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37%를 차지해 향후 업계에 파장이 일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한 관계자는 “현 정부의 비정규직 관련 정책이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사기업에까지 자발적 참여가 아닌 강제성을 띈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인력 자원 운용과 관련해 다양한 계약형태가 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