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70 넘어도 일하고 싶은 중장년 10명 중 7명..."돈이 되는 일을 해야"
[이슈분석] 70 넘어도 일하고 싶은 중장년 10명 중 7명..."돈이 되는 일을 해야"
  • 이윤희 기자
  • 승인 2022.11.01 0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5.6% 70세 이후에도 일할 것...75세 이상도 19.1%
중장년 구직자 중 72.5%가 비자발적 퇴직으로 회사 떠나
10년 사이 고령층 취업자 수 266만명 이상 치솟아
계속 일하길 희망하는 중장년이 해마다 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위해 노인 일자리가 민간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계속 일하길 희망하는 중장년이 해마다 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위해 노인 일자리가 민간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7명 가까이가 은퇴 시기를 훌쩍 넘긴 70세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하기를 바란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이처럼 중장년이 70세 이후에도 근로를 희망한다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시작을 앞둔 시점부터 수년동안 중장년의 희망 퇴직 연령대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대부분은 경제적 이유 즉 생계 유지를 위해서다. 

급격한 경제성장과 미흡한 개인의 노후 준비,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더딘 상황 등이 빚어낸 '노인 빈곤율 상위 국가'라는 오명은 이어진 현실이 우리나라의 노인 세대가 처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노인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공적 노인 일자리 예산에 대한 축소를 우려하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은퇴를 바라보는 중장년의 시각은 또 다르다. 70세 이후에 계속 근로하길 희망하지만 사회 공헌 수준의 용돈벌이에서 그쳐선 안된다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즉 자녀에게 도움을 받지 않더라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만큼의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하단 것이다. 

■재취업시 희망 월급 273만원, 30만원 공공일자리론 택도 없어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는 지난 8월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 10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0월 3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70세 이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하는 구직자는 전체 65.6%로 10명 중 7명 가까이에 이르렀다. 특히 75세 이상에도 일하기를 원하는 이들이 19.1%가 넘게 있었다. 

응답자들의 은퇴 희망 평균 연령은 69.4세로 나타났다. 노인인구로 편입되는 만 65세보다 많다. 평균적인 은퇴 시점이 50대 중후반임을 감안하면 적어도 십년 많게는 이십년 이상을 새로운 일자리에서 새로운 미래를 꿈꿔야하는 셈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중장년들이 경제 사정과 노후 준비 부족 등 현실적인 이유로 노동시장에 계속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일이 필요한 이들이 주된 일자리에서 떠나는 것은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한 경우가 다수였다. 72.5%는 비자발적 퇴직으로 구직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53.1%는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계약종료, 11.7%는 사업 부진·폐업 때문에 구직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0명 4명 꼴인 36.8%는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후에도 근로를 지속하길 희망하는 중장년 구직자의 비율이 70%에 육박했다.
70세 이후에도 근로를 지속하길 희망하는 중장년 구직자의 비율이 70%에 육박했다.

재취업 시 희망하는 임금을 평균 내면 월 273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간별로 보면 200만~250만원이 32.3%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중장년이 은퇴후 편입하게되는 고령층의 주된 일자리인 공공형 일자리는 사회 봉사형 짧은 근로가 이뤄지는 것이 대부분으로 일반적이게는 30만원 내외의 수당을 받는다.

재취업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구인·구직매칭(32.3%), 채용행사 및 일자리 정보제공(21.4%), 취업 연계 직업훈련 및 기술교육(19.9%) 등이 꼽혔다.

■ 민간 일자리 중심으로 노인 일자리 개편 필요 
중장년의 미래 먹거리로 삼아야하는 노인 일자리가 대다수 국가에서 제공하는 공공일자리, 용돈 벌이용 아르바이트 수준의 일자리나 사회공헌형 일자리에서 머물러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는 하나다. 

근로를 희망하는 근본적인 이유 자체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사회적인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 또는 개인의 욕구 충달 내지는 자녀에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정도였다면 이제는 정말 생계를 책임지고 나아가 여전히 가장의 위치에 머무르고 있는 이들이 다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같은 날 발표한 조사통계월보의 '고령층 고용륭 상승요인 분석'에 따르면 2010년 이후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녀들로부터 받는 지원금은 줄고 소득 대비 생활비는 증가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고령층 취업자 수는 무려 266만 8000명가량 증가했다. 고령층의 고용률도 함께 상승해 2010년에는 36.2%에 머물렀던 것이 이제는 42.9%까지 치솟았다. 

한국은행 측은 고령층의 고용률 상승에는 고령층이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사적이전이 줄고 공적연금·자산소득 대비 생활비의 급격한 증가 등 경제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금액을 연도별로 상하위 1% 극단치를 제거 후 소비자물가지수로 실질화해 평균금액으로 산출한 결과 지원 비율은 2012년 75%를 넘었지만 매년 감소해 2020년 65%선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일자리도 중요하지만 미래 준비를 위해 노인 일자리가 민간 일자리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는 2023년도 예산안 개편을 통해  공공형 노인 일자리가 6만1000개 줄어들고 민간 서비스형 노인 일자리는 3만8000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소득이 낮은 공공형 노인 일자리가 중장년 층의 은퇴 후 재취업에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에대해 사단법인 액티브시니어협회 류근성 회장은 "조사에 따르면 고령층의 평균 생활비는 200만원에 가까운데 절반 이상이 연금 미수급자다. 연금을 받는 이들도 대부분은 월 50만원 미만을 받는다. 경제활동 없이 생활비를 충당할 수 없는만큼 근로소득으로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공공형 일자리의 소득이 신체 활동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75세 고령층이 대상이 되는 경우도 다수인만큼 공공형 일자리에 대한 예산과 민간형 일자리에 대한 예산은 다르게 편성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류 회장은 "노인층 대상 공공형 일자리는 현재 세대에, 민간형 일자리는 미래 고령층 세대에 투자하는 비용으로 보고 대대적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