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총수 의결권 소유지분의 7배
재벌총수 의결권 소유지분의 7배
  • 승인 2005.07.15 12: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위, 05년 대기업집단 소유지배구조 정보 공개

대기업 총수일가는 적은 지분으로 계열사간 순환출자 등을 통해 그룹 전체를 지배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계열사를 이용한 지배구조 유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수일가가 행사할 수 있는 계열사 의결권이 소유지분에 비해 1~25배로 다양한 가운데 평균 7배에 달하는 등 소유지배구조의 왜곡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2일 「시장개혁 3개년 로드맵」에 따라 기업집단의 총수일가 및 계열사간 출자구조를 나타내는 소유지분구조와, 총수 일가의 직접 소유지분과 지배지분 간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소유지배 괴리도 및 의결권승수 등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

◆ 소유지분구조 : 금융보험사의 계열사 출자 중 삼성이 52%로 최고

총수가 있는 38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2조원 이상)과 9개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자산 6조원 이상)의 총수일가 지분은 각각 4.94%, 4.64%이고 내부지분율은 각각 51.21%, 47.14%로 각각 지난해에 비해 0.3~2.1%포인트 증가했다. 총수와 친인척의 지분율이 다소 높아졌을 뿐 아니라 계열사를 통한 총수의 지배력도 강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총수가 있는 자산 6조원 이상의 14개 기업집단(5개 출총제 졸업집단 포함)은 대부분 계열사간 순환출자관계가 형성되어 있고 엘지와 지에스 등 지주회사 그룹과 신세계를 제외한 11개 기업집단에 3단계 이상의 순환출자관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삼성그룹의 경우 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삼성에버랜드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고리를 형성하고 있고 현대자동차도 자동차→기아자동차→현대모비스→현대자동차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관계가 형성되어 있다. 835개 소속 계열사 증 총수일가가 지분을 전혀 보유하지 않은 계열사도 502개로 60%에 달한다.

또 대부분의 그룹 소속 금융보험사가 주력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주력회사가 계열사에 출자하는 구조를 취해 금융계열사가 지배구조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이 맡긴 돈을 기업의 경영권 강화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대한 타당성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 중 지에스를 제외한 8개 기업집단이 금융보험사를 갖고 있으며 이 중 엘지와 두산을 제외한 6개 기업집단 소속 12개 금융보험사가 30개 계열사에 2조 4307억원을 출자, 지난해에 비해 692억원 늘어났다. 금융보험사가 보유한 계열사의 평균지분율은 12.58%로 2.64%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금융보험사의 출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집단은 삼성으로 삼성생명의 삼성카드 출자 등 8688억원이 늘어난 결과 5개 금융계열사가 27개 계열사에 1조 2756억원을 출자, 전체 출자금의 52.47%를 차지했다.

한편, 비상장회사는 총수일가 지분은 낮으나 내부지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상장회사에 대한 계열사 출자지분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 의결권승수 : 비상장회사의 소유지배구조 왜곡이 더 심해

공정위는 규모가 큰 기업집단일수록 소유지배구조의 왜곡이 심하나 소폭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유지배구조의 왜곡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공정위는 소유지배괴리도와 의결권 승수를 들고 있다.

소유지배괴리도는 총수가 실제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총수, 친인척, 임원, 비영리 법인, 계열사 등이 가진 지분의 합인 의결지분율에서 총수와 친인척 지분의 합인 소유지분율을 뺀 것을 말한다.
의결권승수는 의결지분율을 소유지분율로 나눈 수치이다. 소유지배괴리도와 의결권승수가 크다는 것은 지배주주가 낮은 소유지분에 비해 높은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재벌총수가 A회사에 대해 50%만큼의 출자를 하고 A회사는 다시 B회사에 대해 30%를 출자해서 각각 지배종속관계에 있다면 총수는 A회사와의 관계에서 소유지분과 의결권이 같으므로 소유지배괴리도는 0이고 의결권승수는 1이다. 그러나 총수와 B기업간의 관계에서 총수의 소유지분은 0이나 의결권은 30%만큼을 행사하므로 소유지배괴리도는 30%포인트이고 의결권승수는 30%를 0으로 나눈 수치인 무한대가 된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소유지배괴리도는 31.21%포인트, 의결권승수는 6.78배인데 반해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은 각각 35.24%포인트, 8.57배로 나타나 규모가 큰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의 왜곡이 더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지난해보다 의결권승수는 증가한 반면 소유지배괴리도는 지난해보다 낮아진 데 비해,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은 소유지배괴리도와 의결권승수 모두 지난해보다 낮아져 규모가 큰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지배간 괴리정도가 큰 기업집단(의결권승수 기준)은 에스티엑스(25.69배), 동양(20.61배), 에스케이(15.83배) 등이며 괴리정도가 작은 집단은 한국타이어(1.13배), 케이씨씨(1.18배), 효성(1.23배) 등의 순이다. 삼성은 7배, 현대자동차는 7배, 엘지는 7.74배다.

출자총액제한 기업집단 중 지에스, 현대는 총수일가의 지분을 약간 증가시키거나 계열사 출자지분을 조금 낮추면 졸업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공정위는 내다봤다.

공정위는 소유지배괴리도와 의결권승수가 높을수록 총수일가지분은 낮아지고 계열사지분은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했으며 비상장사의 소유지배괴리도와 의결권승수가 상장사보다 훨씬 높아 비상장회사의 소유지배구조가 더 왜곡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 주요국 상장사들의 의결권승수는 프랑스 1.07, 독일 1.18, 영국 1.12, 스위스 1.35 등 우리나라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다.

공정거래위원회 이병주 독점국장은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에 관한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시장참여자 및 이해관계자들의 합리적인 판단을 돕고 나아가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가 개선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매년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