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대한민국귀촌연합회 함선욱 수석부회장] 문화예술인과 시니어 인생2막 설계 주도 [아웃소싱타임스 김용신 뉴스리포터] 평화와 통일의 시대, 한반도를 거쳐 만주벌판을 넘어 시베리아 대륙을 지나 유럽까지. 1만 5000km 대장정을 꿈꾸는 일은 목표 설계일까 아니면 단지 개인의 꿈 중 하나일까.함선욱 국민대학교 인생설계 교수는 이와 같은 원대한 꿈이 자신의 목표를 설계한 것이라 말한다. 이룰 수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다. 꿈과 인생 설계를 가르는 경계는 구체적인 구상과 목표에 있다.함선욱 교수는 "어떤 목표의식을 갖고 구상 단계부터 실행 방법까지 구체화하는 것이 설계의 시작이다. 인생설계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이 뉴스메이커 | 김용신 뉴스리포터 | 2021-03-04 08:19 [한국아그리젠토6차산업경영컨설팅협회 현용수이사장] “세상을 이롭게 한다”.. 홍익인간정신으로 새로운 문화 콘텐츠 개발 올 1월까지 새로운 책을 집필하는데 온갖 열정(心)과 또 열정(樂)으로 최선의 마무리를 다했다며, 몸과 마음을 통합적으로 치유하는 대자연의 놀라운 능력에 대해서도 그는 열정을 다해 말했다. “산림은 미래다. 숲은 생명의 원천이다. 숲은 곧 산림이며, 인류의 터전이다. 태고 때부터 인류를 지켜온 위대한 대자연의 치유력은 숲이 아니고는 할 수 없는 존재의 위대함이다". 만나자마자 숲, 산림이야기와 인자한 웃음으로 맞이하는 사단법인 한국아그리젠토6차산업경영컨설팅협회 현용수이사장을 만나 그의 '홍익익간' 정신을 들 뉴스메이커 | 김용신 뉴스리포터 | 2021-02-18 08:00 [전국시니어노동조합 이호승위원장] 나는 아직도 꿈이 있다...시니어 세대를 위한! 2020년 12월 말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국내 인구의 730 만명(15.7%)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인구의 증가가 계속되면서 2025년에는 1050만 명(20.3%)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해서 끝이 아니다. 2050년에는 고령인구가 약 190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긍정적인 부분은 이 모든 고령인구가 '골골' 앓지만은 아닐 것이다. 2018년 65세 생존자의 기대여명은 20.8년(남성 18.7년, 여성 22.8년)이다. 전문 뉴스메이커 | 김용신 뉴스리포터 | 2021-02-08 07:24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김만재위원장] 원칙과 소신으로 200만 조합원 앞으로 돌격! [아웃소싱타임스 김용신 뉴스리포터] 한국노총 산하 산별연맹 중 최대 규모의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의 수장 김만재위원장의 첫 인상은 한눈에도 '노동운동을 많이 한 강한 남자'였다. 그의 풍채나 강단있는 눈빛이 그러한 이미지를 풍겼다. 그런데 이야기를 진행할 수록 풍기는 이미지가 달라지는게 아닌가. 인터뷰 말미 김만재위원장은 '강한 남자'라기 보다는 꿈과 위상이 높은 '부드러운 카리스마의 소유자로' 다가왔다. 이와 같은 생각을 갖게 한 그와의 인터뷰를 공개한다.■ 삶의 가치관은“정의에는 뉴스메이커 | 김용신 뉴스리포터 | 2021-02-01 07:19 [신향숙의 시니어 창업 이야기] 시니어 창업의 현실 시니어의 산업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시니어들의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게 현실이다.2008년대 청년들의 일자리가 심각하게 문제가 되고 화두에 오르며 정부는 청들들의 일자리 대책 중의 하나인 창업을 통한 일자리 정책을 만들어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다. 어느정도의 청년일자리는 해결한 사례가 될 수 있다.청년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베이붐시대의 중장년 일자리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중장년/시니어의 일자리 또한 경험이 많고 노하우가 많은 인재들의 창업을 돕고 활성화 하는데 국가 정책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본다.현재 중기벤처부 뉴스메이커 | 편집국 | 2020-11-11 08:39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