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0대 기업 호봉급 근로자 비중 높아
국내 500대 기업 호봉급 근로자 비중 높아
  • 김연균
  • 승인 2017.06.19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판매/서비스는 '호봉급', 사무/연구는 '직능급'
[아웃소싱타임스 김연균 기자]매출액 500대 기업 근로자들의 기본급 결정기준으로 ‘능력(직능)’과 ‘일의 가치(직무)’보다 여전히 ‘근속연수’(호봉급)가 적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17년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조사’(199개사 응답)에 따르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수 비중은 43.1%, 직능급 34.5%, 직무급 13.5%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수 비중은 0.2% 감소에 그쳐 정체상태에 머물렀고 직능급과 직무급 근로자수 비중은 각각 0.4%, 2.8%씩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주된 기본급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는 ‘호봉급’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사무직과 연구직에서는 ‘직능급’을 적용받는 근로자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생산직 근로자는 호봉급이 70.6%로 많았고 직능급과 직무급은 각각 15.2%, 5.2%에 그쳤다.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이 42.2%, 직능급 30.0%, 직무급 30.1%로 조사되었다. 사무직 근로자는 직능급 57.7%, 직무급 19.7%, 호봉급은 13.2%으로 많았고 연구직 근로자는 직능급 41.7%, 호봉급 36.4%, 직무급 12.1%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199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51개사였으며 호봉급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근로자 성과관리 어려움’(38.4%),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33.8%),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처 애로’(20.5%) 순으로 답했다.

호봉급 운영 사업장이 빠르게 감소하는 상황에서 호봉급 체제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 유지’(32.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를 비슷하게 높게 꼽았다. 호봉제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알려진 ‘근로자의 장기근속 유도’는 11.3%에 그쳤다.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42.7%), ’직무별 임금차등이 어려워 고급인력 유치에 난항’(32.2%),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11.6%), ’고용에 부정적 영향‘(4.5%) 순으로 답했다.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으로는 ‘기본급 인상률을 차등하는 제도 도입‘(40.0%), ’임금에 연공성을 줄이고 성과급 비중을 확대’(24.5%), '업무의 중요성·난이도를 임금 수준에 반영‘(21.0%) 등의 순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