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소싱 서비스 영역 급속히 확산
아웃소싱 서비스 영역 급속히 확산
  • 나원재
  • 승인 2008.01.18 1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한 해는 아웃소싱산업에도 변화와 발전의 바람이 거세게 불어 닥쳤다. 비정규직보호법으로 인한 규제강화와, 민간위탁을 둘러싼 노사갈등의 중심에서 아웃소싱산업은 더욱 진화된 모델을 필요로하는 경제환경의 요구에따라 신규 서비스모델 개발과 틈새시장 개척, 그리고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서비스매뉴얼 정착에 주력하면서 새로운 해를 맞이하고 있다. 새해를 맞아 주요 서비스분야별 결산과 전망을 정리해본다.

■인적자원
비정규직보호법 시행을 전후해 인재파견을 비롯한 인적자원 아웃소싱 산업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한편 새로운 사업기회를 찾아 동분서주한 한 해였다.
노동부에 따르면 2007년 6월말 현재 파견 근로자수는 7만2,777명으로 파견법 시행이후 최고치에 달했으며 사용 사업체수 9,853개소, 파견 허가업체 수 1,176개소로 나타났다.

파견근로자수는 2002년 63,919명으로 6만명을 넘은 후 2003년 5만3,369명, 2004년 4만9,589명으로 감소하였다가 2005년 5만7,384명, 2006년 6만6,315명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파견근로자 사용업체 수는 1998년 4,302개소, 2000년 7,054개소, 2003년 8,512개소, 2006년 10,055개소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올해 9,853개소로 줄어든 반면 파견업체는 2001년 1,257개소, 2003년 1,114개소, 2005년 1,153개소, 2006년 1,076개소로 감소하다 올해 1,176개소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파견허가 업체의 파견근로자 규모를 보면 허가는 받았으나 파견실적이 없는 업체가 267개소(22.7%), 50인 미만 파견이 599개소(50.9%), 50~100인 미만이 129개소(11%), 100~300인 미만이 130개소(11.1%), 300인 이상이 51개소(4.3%)이다.

파견근로자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파견실적이 없거나 100인 미만의 근로자를 파견하는 업체가 84.6%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파견근로자의 파견기간을 보면, 3개월 미만이 2만4904명(34.2%), 3~6월 미만이 1만5194명(20.9%), 6~9월 미만이 8,487명(11.7%), 9~12개월 미만이 9,327명(12.8%), 1년~2년 미만이 1만4,865명(20.4%)으로 나타나 파견기간 6월 미만인 근로자가 전체의 55.1%를 차지하고 있다.

26개 상시적 파견대상 업무별 파견근로자수는 비서·타자원 및 관련사무원이 2만3,142명으로 가장 많고 전화외판원 7,553명, 수금원 및 관련근로자 3,686명, 자동차운전원 3,574명, 간병인 2,870명 등의 순이다.
일시·간헐적 업무의 경우 파견근로자수는 단순노무 조립자가 9,980명으로 가장 많고 수동포장 및 기타제조업 노무자 3,897명, 전자장비 조립원 705명의 순이다.

한편, 파견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22만 8천290원으로 전년도 116만 8천168원에 비해 5.1%가 증가하였으며, 26개 상시적 업무는 7.3%가 상승한데 비해 일시·간헐적 업무는 1.1% 인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7년 하반기 들면서 파견대상업무를 기존 26개에서 32개로 확대·조정하면서 관심을 모았던 파견법 개정안은 현재상황에서 볼때 파견업계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결과를 낳고 있다. 오히려 차별처우 문제를 걱정한 상당수 기업들의 경우 기존 파견근로자에 대한 정규직전환이나 계약직 등 자체직원화, 그리고 업무조정을 통한 해고 등이 이어지면서 파견계약 해지가 잇따르고 있다.

노동부는 법개정 과정에서 “파견대상업무가 확대되면 그만큼 기업은 인력 운용의 유연성을 갖게 되며, 근로자에게는 일자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아울러 최근 도급, 용역 등의 하청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점에서 보면, 파견을 허용하여 하도급을 파견으로 유도함으로써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도 있게 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불법파견요소를 안고 있는 도급업무를 합법적인 근로자 파견제도라는 틀안으로 끌어들여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던 노동부의 법 개정취지가 무색해 질 정도로 파견산업은 위축되고 있다는 평가다. 재계는 고용유연성 악화로 경영에 더욱 압박을 받지만 차별처우문제로 기업이미지 타격을 우려해 파견활용 축소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하소연이다.

노동부가 최근 고용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내세우며 2년뒤 파견법의 재개정을 통한 직종 네거티브제로의 전환을 검토하겠다는 발언도 이와 무관치 않아보인다.
이에 반해 유통, 판촉, TM, 물류 생산 등 인력아웃소싱을 필요로 하는 영역들은 오히려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확대돼 나가는 분위기다.

이랜드로 촉발된 기존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규직화와 외주화 등 아웃소싱을 둘러싼 노사갈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언론의 집중조명을 받지 못하는 중견기업들은 기업경영환경 변화와 생존경영을 위한 아웃소싱 검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생산제조의 경우 기존의 불법요소를 안고 있던 파견이나 도급형태의 외주방식을 개선해 노동부가 요구하는 합법도급 프로세스를 갖추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근로자파견과 인력아웃소싱의 비즈니스 장벽이 이미 사라진 아웃소싱업계는 다시한번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시험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영세업체의 난립과 과당경쟁으로 인해 턱없이 계약단가가 낮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제 업계가 스스로 산업발전을 위한 공동의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부담도 업계의 과제로 남아있다.

■컨택센터

텔레마케팅업무가 파견가능업무에 포함되면서 기존 아웃바운드 위주의 파견이 인바운드도 가능해짐에 따라 파견이 늘 것으로 기대했으나 반대로 도급이 증가하고 있다.

은행권들이 기존 계약직으로 활용하던 콜센터를 정규직전환이 아닌 도급으로 전환하거나 검토하는 기업이 늘면서 우리은행 콜센터 인력의 정규직전환으로 일기 시작한 정규직 바람은 잠잠해졌다. 이에 따라 2008년에는 금융권을 비롯해 증권까지 콜센터의 아웃소싱 바람이 거셀 전망이다.

2007년에는 공공부문의 콜센터 확대가 눈에 띄였다. 건강보험공단이 지방으로 콜센터를 확대 시행했으며 서울시와 고충처리위원회가 콜센터를 아웃소싱 했다. 이 같은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규모 면에서는 높은 성장을 이루었으나 내실을 꾀하지는 못했다. 지나친 경쟁으로 인해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됐으며 업계의 현실을 무시한 제안요청서로 인해 업계 담당자들로부터 외면을 받거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콜센터 운영업체인 효성ITX가 거래소에 상장해 공모가의 2배 이상으로 거래되고 있고 시스템업체인 ECS텔레콤도 12월에 코스닥에 상장했다. 이외에도 브리지텍이 코스닥상장 예비 심사청구서를 제출해 논 상태다.
또한 대기업의 콜센터 진출도 활발해 졌다. LG CNS가 50억원을 출자해 콜센터 구축 및 운영대행업체인 유세스파트너스를 설립했으며, KT가 KTF와 합병후 대기업 콜센터 진출을 모색하는 등 대규모 자본과 영업력을 무기로 한정된 시장에서 기존업체들과의 한판 승부가 불가피해 졌다.

■이러닝·산업교육

이러닝·산업교육 업계의 지난해는 한 마디로 활발했다. 이러닝 업계의 경우 지난해 전반적으로 2003년이래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조 6000억원 규모였던 시장은 올해 20%가량 성장한 2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초·중·고등학교와 대입 시장을 포함한 성장률이지만 기업교육 시장 또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올해는 지난해 보다 기업 간 경쟁이 더욱 더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이랜드 그룹의 자회사인 ‘프리먼트’가 오픈해 향후 업계간 경쟁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교육 시장에서는 KT가 한국IBM과 손잡고 이러닝 시장에 진출했으며, SK텔링크도 내년 2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

또한, 이러닝 업계는 크레듀가 중등 교육 시장으로의 진출을 하는 등 기업마다 신 성장동력을 찾




는 데에 분주했다. 특히, 능력개발카드제는 파견·기간제 근로자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향후 신규 사업 영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산업교육 업계의 경우 이미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분주한 한 해를 보냈다.

산업교육 업계는 기업 교육을 대상으로 시장이 이미 포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규 업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어 지난해 업체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했다. 현재 산업교육 업계는 신 성장 동력으로 우편원격훈련이 대두되고 있으며 신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닝 사업으로의 진출은 업계 전반적으로 지양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이러닝 시장 역시 이미 포화된 상황에서 자본금과 노하우에 대한 경쟁력이 뒤쳐진다는 생각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경비청소

지난 2007년은 경비청소 분야의 지각변동 시작을 알리는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저임금과 KS인증 등 법제도적 환경변화를 맞이한 경비청소 업계에서는 영세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됐다.
특히 지난해 경비청소 업계는 최저임금제로 인해 위기의 한해를 보냈다.

지난해 부터 감시단속근로자가 최저임금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연초부터 고령 경비원의 해고사태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경비원의 최저임금제 실시가 표면상으로는 경비원 근로자의 임금인상이 이뤄졌으나, 이에 부담을 느낀 아파트 입주자들이 근로자를 해고하고 인원을 축소하거나 무인경비시스템을 도입해 경비원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영세업체가 대다수인 경비업계 특성상 최저임금 인상은 경비업체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에 최저임금제 실시 첫해인 2007년은 최저임금의 70%, 2008년은 80% 등 2010년까지 순차적으로 최저임금이 적용되고 있다.
경비원의 임금인상 효과보다는 입주자 부담으로 인한 고령 경비원 해고, 경비업체의 위기 등으로 2007년 한 해 동안은 최저임금 실시로 인한 부작용이 컸던 한해이다.

2008년 역시 이러한 위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3770원으로 지난해 3480원보다 290원 인상돼 영세업체들은 더욱 어려움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경비청소의 서비스 질 향상차원에서 경비청소 분야의 KS인증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최저임금제와 함께 경비청소 업계의 지각변동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경쟁력과 규모를 갖춘 기업을 제외하고 영세업체들은 문을 닫는 경우가 늘어날 전망이다.

■FM/PM/AM

2007년 빌딩관리 업체들의 화두는 사업다각화 및 외부시장 확대 진출이었다. 모기업의 빌딩관리 수주에 의존한 기업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익구조를 찾아 대안 찾기에 나선 것이다.

한정적인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보다 신규시장에 진출해 새로운 수익구조를 창출하는 것이 수익에 안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올해 삼성에버랜드는 에너지사업에 진출했으며, 서브원은 유통과 건설부문 진출을 선언했다. 이밖에도 한화63시티는 소방감리업, 포스메이트는 골프장 사업에 진출하면서 기존 빌딩관리 사업 외에 다양한 사업군을 확대시켰다.

이미 신규사업을 본격화 한 곳도 적지 않다. 교보리얼코는 투자자문과 리모델링 보수공사 등을 하고 있으며, 우리기업은 인테리어사업과 인재파견사업, 인쇄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동현엔지니어링은 소방시설점검과 소방시설공사 등을 맡아 하고 있다.

이러한 신규사업 외에도 샘스, 우리기업, 교보리얼코 등은 모기업 관리에서 벗어나 점차 외부 빌딩관리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대기업 계열의 대형 빌딩관리 업체는 모기업에 70%~90%를 집중하고 있지만, 샘스와 우리기업, 교보리얼코의 경우 적극적인 외부시장 공략으로 모기업 비중을 점차 낮춰가고 있다.

각 기업들이 내부시장의 안정화에 접어들면서 외부시장으로도 점차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랫동안 내부에서 쌓은 노하우들이 외부시장에서도 통용되는데 문제가 없어 빌딩관리 업체들이 외부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빌딩관리 업체들은 신규사업 안정화와 외부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는 시설관리 KS인증 등 제도적 환경변화가 예상돼 빌딩관리 업체들의 발빠른 대응이 요구된다.

■IT업계

지난해 IT서비스 시장은 삼성SDS, LG CNS, SK C&C 등 ‘빅3’의 지배력이 더욱 강해진 가운데 소프트웨어 분리발주 시행으로 중소업체들의 시장 참여 확대의 발판을 마련한 한 해였다.

하지만 현대정보기술, 대우정보시스템, 쌍용정보기술 등이 공공IT 프로젝트에 활발히 참여했지만 해가 갈수록 특정 사업분야를 제외하고는 중견 IT서비스 기업들의 영향력은 떨어졌다.
이는 대기업의 사업이 고도화 될수록 관련사업의 수주율이 한층 높아졌고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중견 업체들이 대기업과 경쟁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쌍용정보통신이 방송·스포츠, 국방 등의 분야에서 포스데이타는 U-시티 분야에서 선전했고 현대정보기술도 해외에서 활로를 모색하는 등 중견기업들도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이어갔다.
이처럼 대기업들의 시장지배력이 더욱 커지면서 중소기업들의 사업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소프트웨어 분리발주가 가시화됐다.

정통부는 지난해 7월 그동안 가이드라인 수준에 머물렀던 소프트웨어 분리발주를 법령에 규정해 대기업의 참여 프로젝트 규모를 기존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높여 대기업의 참여를 제한하고 정부 소프트웨어 사업의 경우 사업자에 돌아가는 적정 이윤율도 기존 10%에서 25%로 크게 높였다.

이에 따라 중소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새롭게 전자정부 시장에 명함을 내밀었으며 중소 SI업체들도 삼성SDS 등 대형 IT서비스 기업들과 짝을 이뤄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로 인해 시스템 3차사업의 주사업자로 참여할 뿐 여타 IT서비스 기업들은 삼성SDS, LG CNS, SK C&C가 주도하고 있는 전자정부 시장에서 별다른 힘을 쓰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도 지난해와 같이 대형 IT업체와 중소 IT업체들의 사업 규모는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물류
올해 택배시장은 전년 대비 20% 가량 신장한 3조2,000억원대로 커질 전망이다. 취급물량은 갈수록 늘고 있지만 업체간 과열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돼 택배부문 영업 이익률은 5%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에는 굵직한 M&A 소식이 많았다. 유진그룹은 지난해 말 전격적으로 국내 최대 가전유통업체인 하이마트를 인수했다. 또한 로젠택배, 한국통운, 한국GW물류 등을 인수해 M&A업계의 새로운 강자로 급부상했다.
2008년에는 대한통운 매각과 롯데그룹의 택배사업 참여가 가시화되면서 또 한번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대한통운을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업계 판도가 바뀌게 되고, 유통 강자인 롯데가 택배시장에 진출할 경우 계열사 물량만으로도 단숨에 업계 6위권으로 진입하면서 택배시장 판도가 뒤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전문기업들이 화주들과의 아웃소싱 계약을 통해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3자물류의 비율은 미국이 75%, 유럽 82%, 일본 80% 수준이다. 반면 우리나라 물류시장에서 3자물류의 비중은 38.8%에 불과하다. 자가물류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3자 물류시장 규모는 약 35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3자물류 비중이 미국 수준으로 올라선다면 물류업체들로서는 2배 성장할 동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정부는 3자물류시장의 확대를 위해 세제혜택을 내놓았다. 지난해 통과된 재경부의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제조업자(화주기업)는 전체 물류비의 50% 이상을 제3자 물류기업에 위탁할 경우 전년 대비 위탁물류비 증가분에 대해 최대 3%의 세액공제 혜택을 올해부터 받게 된다. 이를 통해 물류아웃소싱을 유도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