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장년층 맞춤형 고용지원 필요
부산시, 장년층 맞춤형 고용지원 필요
  • 김연균
  • 승인 2013.08.13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지역 장년층 일자리 확대 방안으로 장년층 특성에 따른 고용지원서비스 다양화, 사전적 전직지원서비스 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부산발전연구원(원장 이언오)은 12일 BDI 포커스 ‘부산시 장년층 고용현황과 일자리 확대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내고 장년인구가 많고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부산지역 장년층의 복지와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며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 전체 인구 중 50세 이상 장년층 비중은 2012년 36.3%로 7대도시 중 가장 높다. 부산의 50대 고용률은 7대도시 평균과 비슷하나, 60세 이상 고용률은 6~8%p 정도 낮다.

보고서를 작성한 서옥순 연구위원은 “부산은 2014년 고령사회, 2022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7대도시 평균보다 각각 6년과 5년 빠르게 진입하는 것”이라며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장년층 복지, 일자리 확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층과 장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다르고, 상호 보완적 성격이 있음을 인식하고 대비책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장년층 일자리의 분야별 사례로 정년 연장 및 퇴직 후 재고용, 사회적 기업, 시니어 창업, 재능기부 등을 제시했다.

정년 연장 및 퇴직 후 재고용 사례로는 헤스본·도요타 자동차·부산은행 등 금융권 퇴직자 재고용, 사회적 기업으로는 갑피두레·아하라·이로도리·미국의 소매점, 시니어창업으로는 이자우스·팜스클럽, 재능기부 로는 서울 송파구의 이야기 할머니 할아버지 동화구연·서울시 창업닥터 등이 꼽혔다.

서 연구위원은 “현재 추진 중인 장년층 일자리사업은 단기간에 약간의 소득을 보장하는 생활형 일자리 지원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생계형, 생활형, 사회공헌형 등 장년층이 은퇴 후 일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맞춤형 고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은퇴 후 일자리를 위해 재직 중에 적극적인 전직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산업현장과 연계해 재직 중에 장년층이 관심 있는 일자리를 직접 체험하고 필요한 직업훈련 참여 계획을 세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장년들의 체력적 한계를 감안해 파트타임 일자리, 격렬한 육체적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자리, 장년층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하다”며 “고용 안정성을 보장하고 4~6시간 일하는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지역 명소 스토리텔러, 관광지 안내원, 장년층 여행전문가, 청·장년 취업 상담사, 중소기업 생산직, 노인 돌봄 도우미, 동네 보안관, 아파트 단지 내 택배배달원 등이 이러한 일자리의 예로 꼽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