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퇴근 어렵다" 직장인 10명중 7명
"정시퇴근 어렵다" 직장인 10명중 7명
  • 김민수
  • 승인 2016.12.23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웃소싱타임스]
근무혁신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정시퇴근'을 꼽았지만 현실적으로는 실천이 쉽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직장인 10명중 7명은 퇴근 후에도 업무관련 연락을 받았고 업무시간이 끝나고 회사에 계속 남아 2시간 가까이 일을 하더라도 야근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응답률도 50%에 달해 장시간 근무관행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22일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행정자치부, 교육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전경련, 대한상의 등 경제단체, 여성경제인단체,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일·가정 양립 민관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민관협의회에서는 지난 11월14일~30일 기업 500개 및 노동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팩스,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한 기업과 근로자가 체감하는 근로관행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실태조사 분석결과, 기업(52.8%)과 근로자(53.5%) 모두 근무혁신 10대 제안 중 가장 필요한 분야로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정시퇴근)'를 지적했다.

근무혁신 10대 제안은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직장문화를 만들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불필요한 야근 줄이기, 퇴근 후 업무연락자제, 명확한 업무지시, 연가사용 활성화, 유연한 근무 등을 포함한다.

근무혁신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은 82.6%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정시퇴근을 위한 제도를 운영한다는 기업이 7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가장 잘 실천되는 항목(56.3%)과 실천되지 않는 항목(40.5%) 모두 정시퇴근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과 근로자가 모두 정시퇴근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근무혁신제도를 도입했지만, 정작 현장에서 '칼퇴근'은 실천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정시퇴근의 장애요인으로 기업은 '업무 수행상 필요(79.7%)', '업무량 과도(14.1%)' 등으로 응답했고, 근로자는 '과도한 업무량(43.5%)'을 많이 꼽았다.

근로시간이 끝나고 30분 이후 2시간 이내에 퇴근하면 야근으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근로자 비율은 50.2%에 달해 장시간 근로가 관성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급이 높을수록 퇴근시간 1시간 이후 퇴근자 비율이 높고 사원·대리급은 30분 이내 퇴근 비율이 다른 직급 대비 높아 정시퇴근에 대한 직급간 행태도 차이가 있었다.

야근을 많이 할수록 업무집중도는 낮았다.

근로자들은 업무집중도가 낮은 이유로 피로누적(29.9%), 잦은 회의·보고(23.7%), 야근관행(21.6%) 등으로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장시간 근로로 인한 번아웃(burn out), 야근, 생산성 저하의 악순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자신은 업무 집중도가 높다고 평가한 응답은 야근을 하는 근로자는 48.0%에 불과한 반면, 야근을 하지 않는 근로자는 54.2%로 나타나, 야근이 업무집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퇴근 후 업무연락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74.0%에 달했다.

퇴근후 연락이유로는 ▲급한 업무처리로 인한 업무연락(42.2%) ▲관행화된 장시간 근로에 기인한 업무연락(55.4%) ▲생각났을 때 지시해야 마음이 편해서(30.3%) ▲퇴근시간 후 외부기관·상사 등의 무리한 자료 요청(17.9%) ▲직원이 회사에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7.2%) 등으로 나타났다.

초과근로 단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요인으로 근로자는 '사내눈치법 등 직장 내 문화개선(23.4%)'을 꼽았고, 기업 인사담당자는 CEO의 관심(33.3%), 업무량의 조정(27.9%)을 꼽았다.

상급자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30.4%)과 노력(29.0%)이 저조하고, 일·가정 양립 제도 활용으로 사내눈치(41.11%), 직장내 괴롭힘도 발생(20.0%)하는 등 일하는 문화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