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대한민국 지역 절반 사라져...일자리로 청년 유입 ‘시급’
[초점] 대한민국 지역 절반 사라져...일자리로 청년 유입 ‘시급’
  • 김민수 기자
  • 승인 2021.08.26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마다 ‘들쑥날쑥’ 인구밀도, 대한민국 소멸위험 지역 ‘46%’
수도권에만 쏠려있는 청년층,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지방 소멸, 젊은 여성 층의 도심 유입도 영향 커
사진은 2018년 6월 기준으로, 3463개 읍면동 지방소멸위험 현황을 나타낸다. 색이 붉을수록 소멸 위기가 높다. (사진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
사진은 2018년 6월 기준으로, 3463개 읍면동 지방소멸위험 현황을 나타낸다. 색이 붉을수록 소멸 위기가 높다. (사진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수요가 없는 학교는 문을 닫듯이 지방 지역이 조만간 문을 닫게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원인은 젊은 인구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만 쏠리는 탓인데, 지방 지역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청년 인구의 유실을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향하고, 인재가 모두 도심으로 향하니 기업은 다시 인재를 찾기 위해 서울로 향하는 순환 구조가 생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방 지역의 소멸 위기가 언급되면서 수도권에 모든 인프라가 집중돼 부동산 상승을 야기하고 일부 기업에만 대규모 채용이 이뤄져 청년 실업도 도리어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에 따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수도권에만 몰리는 청년인재, 비수도권과 비도심 지역은 소멸 위기 놓여
현재 대한민국의 수도권 쏠림 현상과 지자체의 소멸 위기 정도는 얼마나 심각한 것일까. 한국고용정보원은 ‘포스트 코로나19와 지역의 기회’ 보고서에서 전국 228개 시군구의 46.1%가 소멸위험에 놓여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무려 대한민국 지역의 절반 가까이 소멸 위기에 놓인 셈이다.

지방마다 인구밀도가 공평하지 않고 지역이 텅 비어가는 현상이 심화 되면서 대한민국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

소멸위험 지역 46%의 대부분은 비수도권 지역이다. 서울특별시와 같은 특정 공간엔 너무 많은 사람이 집중되고, 나머지 비수도권 지역은 점차 빈 공간으로 변해가는 것. 2018년 7월, 한국고용정보원에선 ‘고용동향브리프’를 통해 지방소멸위험지수 값을 나타냈다.
사진은 2018년 6월 기준으로, 3463개 읍면동 지방소멸위험 현황을 나타낸다. 색이 붉을수록 소멸 위기가 높다. (사진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홈페이지)

위 자료에서 읍면동 수준의 소멸위험을 시도별로 살펴봤을 때, 전남은 81.1%로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에 해당 됐으며, 경북 76.8%, 전북 75.9%, 충남 70.2% 등의 순으로 소멸위험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가 2018년을 기준으로 작성된 점을 감안하면 현재는 상황이 더욱 악화됐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비수도권 출신 청년층의 일부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부모(가구주)의 이동, 대학 진학, 노동시장 진입 및 이동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수도권 이동도 지방 소멸의 원인 중 하나임을 밝혔다.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2021년 7월 감사원에서 발표한 자료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Ⅰ(지역)’ 중 청년층의 수도권 인구집중도 추계를 나타낸 표. (사진 출처: 감사원 홈페이지)
2021년 7월 감사원에서 발표한 자료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Ⅰ(지역)’ 중 청년층의 수도권 인구집중도 추계를 나타낸 표. (사진 출처: 감사원 홈페이지)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젊은 층이었다. 감사원에서 발표한 자료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Ⅰ(지역)’에 따르면 청년층의 수도권 인구집중도는 2117년까지도 꾸준히 늘어날 뿐 아니라 다른 지방에 비해 수도권 청년층 거주 비율이 월등히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유는 ▲비교적 뛰어난 수도권 대학의 경쟁력 ▲수도권에 다양한 양질의 일자리가 쏠린 탓으로 분석됐다. 감사원에서 조사한 결과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에서만 각각 1179개(51.8%), 64개(2.8%), 418개(18.3%)로 총 1661개(72.9%)의 회사가 분포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지방은 충남 79개(3.5%), 경북 63개(2.8%), 경남 63개(2.8%) 등으로 총 617개(27.1%)의 회사가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자리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어 청년층이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수도권에 다양한 일자리가 분포해 있다는 증거자료다. (사진 출처: 감사원 홈페이지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Ⅰ(지역)’)

이외에도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엔 각종 편의시설과 교육, 복지 등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인구 유입은 자연스레 이어지는 결과로 보인다. 또한 이처럼 인구가 수도권으로 크게 유입됨에 따라 정부는 복지, 교육시설, 기업 등이 편중된 수도권에 더 큰 비중의 예산을 투입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농어촌 지역에 90만 명의 인구 유입을 목표로 한 바 있지만, 청년 취업 문제, 교육 문제 등 현실적인 문제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 편중도니 청년 인구, 저출산으로 이어져
지방은 젊은 층의 유출로 초고령화에 이르게 되며, 이 중 여성 젊은 층의 유출이 대한민국의 저출산에 불을 지피고 있는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감사원은 ‘저출산 고령화 대책 성과분석’ 자료를 통해 157개 시군구의 경우 약 30년 후부터 청년층, 특히 젊은 여성 인구의 유출로 인해 초고령화에 이르게 되며 대부분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젊은 층 인구 기반이 소멸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수도권에 청년층이 다수 분포되는 것은 지방 소멸 뿐 아니라 복합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부동산 대란과 저출산 문제다.
 
감사원은 서울의 합계출산율(0.72명)이 전국(0.92명)보다 낮아 우리나라 저출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의 낮은 출산율은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청년층이 과도한 경쟁과 미래에 대한 불안을 지각하여 비혼과 만혼을 선택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이 수도권에 비해 복지와 일자리 등의 인프라 수준이 낮아지면서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값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청년 층이 일자리를 찾아 거주 지역을 떠나 수도권으로 몰리지만 정작 제 한 몸 누울 곳 조차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노동시장 진입 및 이동으로 인한 비수도권 출신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일자리 사업을 강화하여 지역의 청년들이 안정적인 지역 기반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히며 지역의 일자리 사업 강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역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지역 간 불평등은 심화되며 지자체의 발전을 더디게 할 수 있다.  수도권 아닌 비수도권 지역에 청년 인구의 유입이 절실한 가운데 현실성 있으면서도 신중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