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플랫폼 종사자 220만 명 시대...배달·배송이 '30%' 차지해
국내 플랫폼 종사자 220만 명 시대...배달·배송이 '30%' 차지해
  • 김민서 기자
  • 승인 2021.11.19 1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부, '플랫폼 종사자 규모 및 근무실태' 조사 실시
2030세대 55.2% 차지, 청년층이 두드러지게 많아
협의의 종사자 중 47.2%는 주업으로 하고 있어
국내 플랫폼 종사자가 약 220만 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서 기자]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플랫폼 종사자가 약 22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자의 8.5%에 해당하는 수치다. 또한 전체 플랫폼 노동자 중 배달·배송 운전이 30%를 차지했다. 

고용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2021년 플랫폼 종사자 규모와 근무실태'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플랫폼 종사자 규모 추정 및 근무실태 파악을 위해 진행됐다. 조사는 전국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15세 이상 69세 이하에 해당하는 약 5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표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플랫폼 종사자를 성별로 나눠보면 플랫폼 종사자 중 여성은 46.5%로 전체 취업자의 여성 비율인 42.8%보다 높게 나타났다. 플랫폼 종사자 중 남성은 54.5%로 집게됐다. 

연령별로는 2030세대 비율이 55.2%로 전체 취업자 중 2030세대 비율인 34.7%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 비율이 59.%로 전체 취업자 중 수도권 거주 비율인 52.3%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배달·배송·운전이 약 30%를 차지했으며 ▲음식조리・접객・판매(23.7%) ▲통・번역 등 전문서비스(9.9%) ▲사무보조・경비(8.6%) ▲데이터 입력 등 단순직업(5.7%)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에 따라 직종을 분석해보면 남성의 경우 배달·배송·운전이 47.5%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음식조리·접객·판매 관련 직종이 33.1%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전체 플랫폼 종사자 중 협의의 종사자는 66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취업자 수의 2.6%에 달한다. 협의의 종사자란 플랫폼이 대가나 보수를 중개하고, 중개되는 일이 특정인이 아닌 다수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한 사람을 일컫는다.

이중 47.2%는 주업으로 업무를 하고 있었으며 ▲부업(39.5%) ▲간헐적 참가 유형(13.3%)로 나타났다. 주업형 노동자 중 82%는 배달·배송·운전 업무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가사·청소·돌봄(4.6%) ▲전문서비스(3.3%) ▲데이터 입력 등 단순작업(2.8%) ▲IT 관련 서비스(2.7%) 순으로 나타났다. 

부업형 노동자는 ▲배달·배송·운전(68.5%) ▲전문서비스(14.5%) ▲데이터 입력 등 단순작업(5.9%) ▲가사·청소·돌봄(5.3%) ▲IT 관련 서비스(1.2%) 순으로 집계됐다. 간헐적 참가 유형은 ▲배달·배송·운전(75.9%) ▲데이터 입력 등 단순작업(8.5%) ▲전문서비스(6.2%) ▲창작활동(5.2%) ▲IT 관련 서비스(2.9%) 순으로 확인됐다. 

업무 형태에 따라 근무현황을 살펴보면 주업의 경우 한 달 기준 평균 21.9일 근무하고 월 192만 3000원의 소득을 얻고 있다. 또 부업은 평균 10.3일 근무하며 소득은 월 74만 3000원으로 나타났다. 간헐적 참가형의 경우 평균 5.4일 근무하며 월 22만 7000원의 소득을 얻고 있다. 

계약형태에 대해서는 66만 명 중 계약을 체결한 비율은 57.7%, 어떠한 계약도 체결하지 않은 비율은 28.5%, 잘 모르겠다는 비율은 13.8%로 나타났다. 업무규정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플랫폼 기업이 정한 업무 규정이나 규칙이 없다는 응답이 59%이고, 있다는 응답은 41%로 확인됐다. 

플랫폼 노동자들은 종사자는 ▲플랫폼 기업이나 소속업체의 보수 미지급(22%) ▲비용·손해에 대한 부당한 부담(18.1%) ▲일방적 보수 삭감(16%) 등의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에 대해 플랫폼 기업이 중재·조정을 했는지는 유형별로 상이한 것으로 파악된다. 

최현석 근로기준정책관은 “플랫폼 종사자의 증가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의 영향이라고 생각한다”며 “종사자들의 어려움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동반자적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국회의 입법 논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